강화역사달력 2004년 3월2008/01/13

외규장각 치미에 걸린 빛이 눈부셨습니다. 계몽은 역사의 빛입니다. 신화와 혼돈을 역사로 바꾼 힘입니다. -외규장각 정조는 즉위 즉시 규장각을 설치합니다. 이는 왕실 도서관이자 최고연구기관이었습니다. 정조는 강화에 규장각의 분원인 외규장각을 짓게 합니다. 1782년 2월의 일입니다.

강화역사달력 2004년 4월2008/01/13

회담을 통해 평화조약을 체결한 연미정이 자리한 곳은 어쩌다가 다시 정전의 현장이었습니다. 평화만이 진정한 역사의 승리입니다. -연미정 1627년 1월 여진족이 일으킨 후금의 군사 3만이 조선을 칩니다. 정묘호란입니다. 인조는 1월29일 조정을 이끌고 강화로 피난을 오게되고 한달간의 이견조정을 거쳐 3월3일 화의조약을 체결하게 됩니다.

강화역사달력 2004년 5월2008/01/13

교동의 한 폐가에서 고단했을 유배생활을 생각해봅니다. 그러나 그 고난이 있어 역사는 더 어두운 곳을 볼 수 있었습니다. -교동폐가 1623년 인조반정으로 폐위된 광해군은 3월23일 강화에 유폐됩니다. 그뒤 강화와 교동에서 15년을 살았습니다.

강화역사달력 2004년 6월2008/01/13

숨어있는 나무의 결에서 대장경을 창조했듯 선원사지는 묻혀진 흙속에서 역사의 결을 찾아내고 있었습니다. 결을 통해서야 역사는 현실이 됩니다. -선원사지

강화역사달력 2004년 7월2008/01/13

정렬된 기왓장 틈새로 이름모를 풀들이 피고 집니다. 스스로 일군 대지가 아닌 이상 기왓장 틈에 튼튼한뿌리를 내릴 순 없는 일입니다. -용흥궁 1849년 6월6일 강화도령 원범이 왕이되어 강화를 떠납니다. 그러나 세도정치의 벽에 막혀 뜻을 펼 수 없었습니다.

강화역사달력 2004년 8월2008/01/13

몽골의 유라시아제국과 고려의 경계선이었던 승천포는 여전히 유라시아지정학의 표현입니다. 철조망사이로 흐르는 바다가 유달리 푸른 것은 하늘이 푸른 때문입니다. -승천포 1232년 7월 최우정권에 의해 강화로의 천도가 단행됩니다. 유라시아제국인 몽골에 대응하기 위한 방편이었습니다. 이로서 한강하구는 광폭하게 유라시아체계에 편입되는 순간을 맞게됩니다. 갯벌로 흙탕물인 한강하구가…

강화역사달력 2004년 9월2008/01/13

석상과 함께 비를 맞으며, 수백년동안 비바람 맞을 것을 알면서도 부동의 표정을 조각한 이유를 알듯 했습니다. 신념이란 어둠에서 밝음을 볼줄아는 열린 마음입니다. -정제두묘 문인석 1709년 8월 하곡리에 정제두선생이 이사왔고 제자들이 그의 뒤를 따라 왔습니다. 그의 학문은 이광명, 신대우, 이광사, 신작, 이긍익을…

강화역사달력 2004년 10월2008/01/13

참성단에 올라 시대의 비상구를 찾던 조상들을 생각합니다. 한점 구름마저 흘러가 빈하늘만 남았습니다. 무상은 덧없음이 아니라 변화함이며 창조의 가능성입니다. -마니산참성단

강화역사달력 2004년 11월2008/01/13

비바람치던 밤내내 법당엔 불이 꺼지지 않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새벽은 밤하늘로 걸어오고 있었습니다. -전등사 양헌수장군이 프랑스군을 물리칩니다. 1866년 11월의 일입니다. 전등사법당엔 마지막결사항전의 결의를 다지며 섰다던 묵서가 기등과 서까래에 지금도 남아있습니다. 정족산성의 승리는 유라시아체제의 침략에 맞서 성취한 분명한 승리였지만 병인양요에서의 승리만으로 근대화의…

강화역사달력 2004년 12월2008/01/13

어둡던 교회마루바닥에 빛이 들었을 때 비로소 마루의 결을 읽을 수 있었습니다. 빛은 어두운 곳에서 보여지기보다 느껴지는 것이었습니다. – 교동달우물교회 1926년 박두성이 한글점자 훈맹정음을 반포합니다. 달우물마을에서 태어나 맹아학교교사로 일하던 박두성선생의 헌신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습니다.

강화역사달력 2005년1월2008/01/13

사색의 깊이인 듯 석상의 그림자가 길게 드리워져있었습니다. 사상가에게 시대가 마지막 기회이듯 시대 또한 사상가가 마지막기회입니다. -이규보묘

(2001년 10월8일 강화역사문화연구소에서 발표한 이야기입니다. 부근리 고인돌의 기울기에 관한 역학과 미학에 대한이야기입니다. 창비사에서 출판될 이시우의 통일기행에도 그 내용이 실릴 예정입니다. ) 부근리식 고인돌의 미학 사진가 이시우 이야기 순서 1) 고인돌 연구방법론에 대하여 1. 문제 인류학적 범주의 한계 서비스의 통합론 프리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