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경계선, 영해선인가 군사분계선인가? 2007/01/11 875

http://www.tongi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65279 서해경계선, 영해선인가 군사분계선인가? 사진가 이시우 판문점 장성급 회담 결렬의 파괴력은 의외로 컸다. 열차 시범운행까지 취소되었다. 북은 2000년 11월 17일 남북관리구역에 대한 유엔사와 인민군간 합의에 대해 2002년 유엔사가 지뢰상호검증단을 교환을 가로막으며 논란을 일으킨 남북관리구역에 대한 ‘관할권, 관리권’ 논쟁에 종지부를 찍을…

‘작계5027에 의한 상륙전은 위헌이다’2007/01/11 1033

http://www.tongi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64014 ‘작계5027에 의한 상륙전은 위헌이다’ 이시우 30일자 통일뉴스의 보도에 의해 밝혀진 것처럼 한미연합상륙전연습이 ’5027-04 3단계 2부를 적용한 것’이라는 군사당국자의 현장 브리핑시 발언은 처음으로 군 당국자에 의해 이같은 사실이 공식 확인되었다는 점에서 충격을 안겨준다. 1986년 해군참모총장과 해병대사령관의 승인으로 발간한 ‘해군전략 Maritime…

한강하구 평화지대화 전략 구상 2006/04/10 1101

한강하구 평화지대화 전략 구상   한 체계를 제대로 알기위해선 역사,구조,기능을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강하구의 역사는 역사적으로 4번의 계기를 거치면서 유라시아체계에 포함되어 왔다. 유라시아의 실크로드 해양로가 활성화되기 전 고인돌이 교류되던 상고시대, 몽골침략기, 양대양요기, 한국전쟁기가 그것이다. 한강하구의 생태 역시 역사적 과정과…

전시작전통제권의 환수와 유엔사문제2006/03/20 1144

전시작전통제권의 환수와 유엔사문제 연합사의 작통권을 환수받더라도 유엔사 고유의 작통권은 여전히 유효하다. 때문에 유엔사와 연합사의 작통권을 동시에 환수 받을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현재 전시작통권과 평시작통권 중의 핵심부분인 6가지 부분이 한미연합사령부에 이양되어 있다. 한미연합사 차원에서 행사 가능한 작통권은 한미상호방위조약에서 합의하고 있듯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