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인지뢰제거및피해보상등에관한법-검토보고서 이시우 2003/12/02 279
현재 국회에 상정된 대인지뢰제거및피해보상등에관한법에 관한 입법조사관실의 검토보고서. 대인지뢰의제거및피해보상등에관한법률안 (김형오의원 발의) 검 토 보 고 서 2003. 11. 국 방 위 원 회 전 문 위 원 대인지뢰의제거및피해보상등에관한법률안 (김형오의원 발의) 검 토 보 고 1. 제 안 경 위 가. 발…
지뢰및 특정재래무기사용및 이전금지에 관한법-심사보.. 이시우 2003/12/02 394
2001년에 통과된 CCW(특정재래무기금지조약의 지뢰의정서)이행법률에 대한 국회 국방위원회 수석위원의 심사보고서이다. 원래의 CCW보다 후퇴한 점은 플라스틱대인지뢰가 제거 대상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 지뢰등특정재래식무기사용및이전의규제에관한법률안 심 사 보 고 서 2001. 4 국방위원회 1. 심사경과 가. 제안일자 및 제안자 : 2000. 7. 24, 정부…
유엔이라크결의 1511호-영문 이시우 2003/10/22 394
http://www.acronym.org.uk/docs/0310/doc06.htm#01에서 보실수 있습니다.
2001미국방부 연례보고서-준비태세부분 이시우 2003/10/15 329
2001미국방부 연례보고서-준비태세부분
2001미국방부 연례보고서-미군조직부분 이시우 2003/10/15 234
2001미국방부 연례보고서중 미군조직부분 제2부 현재의 미군 전력 제 3 장 국방전략 수행을 위한 미군 조직 국방 전략은 최 단기간의 요구를 실현하고, 대응하는 동시에 불확실한 미래에 대비하는 등의 광범위한 요구를 미군에 부여하고 있다. 국방 전략의 군사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미군의 현역과…
2001미국방부 연례보고서-전략핵부분 이시우 2003/10/15 206
2001미국방부연례보고서6장 핵전력과 미사일부분 제 6 장 핵 전력과 미사일 방어 핵전력과 미사일방어는 미국안보의 중요한 요소이고 미래에도 그럴 것이다. 전략군은 믿을만하고 매우 가치 있는 방어망을 계속 제공한다. 미국은 지속적으로 전략 핵전력 감소를 위해 적절하고도 공통적인 합의를 이루려고 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은…
2001미국방부 연례보고서-국방개혁부분 이시우 2003/10/15 191
2001 미국방부연례보고서중 11장 국방개혁부분 제3부 21세기를 향한 미군의 변혁 제 11 장 군사 개혁 전략 작년 보고와 이 장의 내용에 의해 소개되는 국방부의 변화 전력의 목적은 21세기 미군의 우수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다. 미래 안보에 관한 대부분은 그 나라의 적대국이 누가 될지,…
남재준육참총장강연-장교의 도 이시우 2003/10/15 320
남재준육참총장이 계룡대에서 장교들을 상대로 행한 강연 육군참모총장 정신교육
김희상보죄관-이라크전과 국제질서 이시우 2003/10/15 182
김희상청와대국방보좌관 이라크전과 국제질서 강연원고 이라크 戰爭과 國際安保 秩序 청와대 국방보좌관 (예)중장 김희상 예외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인류 역사 상의 많은 전쟁은 흔히 한 시대를 마감하고 새로운 시대를 여는, 말하자면 새로운 국제질서 창출의 계기이자, 역사의 분수령이 되어 왔다. 예컨대 Alexander 대왕의…
2003라포트사령관한미동맹연설 이시우 2003/10/15 209
2003.2.20프라자호텔서 열린 국방연과 헤리티지재단주최 한미동맹 50년 세미나에서 행한 라포트주한미군사령관연설 전문 2003.2.20프라자호텔서 국방연구언가헤리티지재단 주최 세미나에서 라포트사령관 연설 황동준 박사님, 친절한 소개 말씀에 대해 감사드립니다. 헤리티지 재단의 에드윈 제이 풀너 박사님, 황동준 한국 국방연구원장님, 한미교류협회 김승연 회장님 한미 양국의 국회의원, 하원 의원…
정책결정 구조의 한·일 비교 이시우 2003/10/15 410
정책결정 구조의 한·일 비교 들어가며 90년대 들어와서 한일 양국은 탈냉전시대와 함께 거품경제 붕괴 후의 금융통화 위기와 경제 시스템의 구조전환의 과제를 강요당하고 있다. 이에 한국의 경우, 경제회복을 위한 구조조정의 필요와 IMF의 강제적 지도로 인해 김대중 정권은 발빠른 대응을 보이는데 비해…
日韓國會議員選擧의 比較分析 이시우 2003/10/15 351
日韓國會議員選擧의 比較分析 이 논문의 목적은 일본과 한국의 정치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보수당에 의한 장기 일당 지배와 최근 나타난 붕괴라고 하는 2가지 현상을 양국의 국회의원 선거에 관계되는 제도적·정치 문화적 유사점과 상이점을 비교 검토하는 것이다. 물론 양국에 있어서 몇 가지 개념상, 방법론상의…
최근 답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