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크푸르트 도서전 ‘민통선평화기행’출간기념회 강연원고2005/11/19 857

프랑크푸르트 도서전 ‘민통선평화기행’출간기념회 강의 원고입니다. 저의 강의 원고보다 이것을 영어로 번역해주신 영국의 김희정님의 원고가 귀중해서 올리게 되었습니다. ‘한강하구에 평화의 배띄우기’ 슬라이드원고를 영역하는게 미루고 미뤄오던 숙제였는데 그것을 김희정님이 해주신 것이지요. 이 자리를 빌어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이처럼 영광스런 자리를 마련해주신 창비와 Axel Dielmann 출판사에 진심으로 감사를 드린다. I feel really honored to be here, and am very grateful to Changbi, and Axel Dielman for giving me this great opportunity.

1950년의 한국전쟁은 한반도의 역사를 바꿨으며 어떤 면에서는 이 전쟁에 주도적으로 참가한 미국과 중국의 역사를, 그리고 세계의 역사를 바꾸었다. Korean War in 1950 not only changed the course of Korean history, but also had a profound impact on world history, let alone China, the U.S., the two major participants in the war.

2차 대전이후 미국의 전략은 전쟁에서의 단순 승리가 아니라, 어떻게 유라시아 대륙을 장기적으로 통제하며 미국의 패권을 관철 시킬 것인가 하는데 있었다. 그것은 냉전과 분단으로 나타났다. The aim of the U.S. government’s strategy after the 2nd world war was not just to win wars, but to establish and maintain hegemony in the Eurasian continent, which materialized in the form of Cold War and the division of Korean peninsula.

한국전쟁이 한반도만의 사건이 아닌 세계적 사건이 된 것은 미국의 유라시아 패권의 한축이 되었기 때문이다. Korean war became an international affair because the peninsula became one of the axes that supported the U.S.’s hegemosy in Eurasia.

분단은 생활 속에 파고든 전쟁이다. Division is a war that has seeped into our everyday lives.

전쟁은 일정 기간에 끝이 나지만 분단은 구조적으로 전쟁 상태를 유지하는 장치이다.
Wars end sooner or later, but division of the peninsula is a device to systematically maintain the state of the war.

2002년 한국이 월드컵 4강에 진출하는 환희의 순간에 서해에서 전쟁이 일어났다.
In 2002. just when we were all rejoicing the national football team’s entry to semifinal in the world cup games, a battle broke out in the West (china) sea.

평화와 행복을 한순간에 전쟁으로 곤두박질치게 할 수 있는 상태가 분단임을 한반도는 50년간 경험해 왔다. That’s the state of division we have lived in for the last 50 years, in which peace and happiness can plummet instantly into a state of war.

오늘날 냉전의 해체와 더불어 유라시아 대륙 곳곳에 있던 비무장지대는 소멸하거나 그 위치가 이동되었지만 한반도의 비무장지대는 50년간 굳건히 냉전의 보루이자 평화의 장애물로서 지금까지도 건재하고 있다. As the Cold War ended, several demilitarized zones in the Eurasian continent either disappeared or were moved to other locations. And yet the DMZ on the Korean peninsula is there serving as a 50 year old bulwark of Cold War and barrier to peace.

이 책에서 나는 한반도의 비무장지대와 그 주변의 민통선문제가 역사적으로는 유라시아 대륙의 지정학적 문제이며, 구조적으로는 유엔군사령부, 즉 미군의 문제임을 밝히고자 했다. Through this book, I wanted to point out that the problems regarding the DMZ, and the civilian passage restriction line (CPRL) historically stem from the Eurasian continent’s geopolitical problems and structurally from United Nations Command (UNC), that is in essence the US armed forces.

그리고 한반도 비무장지대와 민통선지역의 수많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 세계적 냉전구조를 마지막으로 종결시키는 작업이 되리라는 예감을 공유하고자 했다. I also wanted to share my expectation that solving the numerous problems surrounding the DMZ and the CPRL in Korean peninsula would surely put an end to the cold war on the planet.

그것은 미국의 패권에 대항한 유라시아대륙의 평화적 연대의 시작이 될 것이다. It will mark the beginning of the Eurasian peace alliance against the US supremacy in the region.

이미 남북의 지도자가 만나 비무장지대를 관통하는 두 개의 철도를 만드는 것에 합의함으로서 이 작업은 시작되었다. Leaders of south and North Korea have already met and agreed to construct two railway lines that run through the DMZ. This signifies the beginning of peace process.

이 책은 여행서이다. This book is a travel book.

내가 생각하기에 여행은 정치이다.
In my view, traveling is politics.

서해에서 전쟁이 일어나는 시간에도 동해에서는 북으로 가는 관광선이 운행되고 있었다. At the very moment when a battle was being fought in the west sea, people from south Korea were cruising on the East sea to visit North Korea.

북을 다녀오면 반통일세력이었던 사람들도 통일주의자로 변했다. One visit to the North is all to change an anti-unification leaguer into a pro- unification advocate.

내가 발견한 새로운 관광의 관점은 고도의 정치의식을 즐거움과 보람 속에서 체득하게 하는 것이다. What I found in traveling is to learn and acquire high level of political awareness through pleasurable and fruitful experiences.

말보다 사진으로 여행을 하자 
Let’s stop talking and travel on board the pictures.

우선 사전 지식이 필요하다.(한반도 지도 슬라이드: 준비중)
Let me give you some background information.

이것은 한반도의 지도이다. This is a map of Korean peninsula.

1953년 정전협정의 합의에 따라 군사분계선의 동쪽 끝은 고성이며, 서쪽 끝은 장단이다. The 1953 ceasefire agreement dictates the that MDL(military demarcation line) ends in Kosung in the east, and Jangdan in the west.

군사분계선으로부터 남쪽으로 2km 북쪽으로 2km, 총 4km의 완충지역을 두었는데 이것이 비무장지대이다. From the MDL the buffer zone stretches 2 km to the N and to the S respectively. This 4 Km stretch of land (on either side of the MDL) is called Demilitarized zone.

군사분계선과 비무장지대는 육지에만 있다.
The MDL and the DMZ only exist on land.

강과 바다에는 어떤 군사적의미의 선도 지대도 없다. On the river and the sea, no lines or zones of military significance whatsoever can be found.

민간인 통제선은 비무장지대로부터 20km이내에 설정되도록 되어 있다. The civilian passage restriction line (CPRL) is supposed to be set up within 20 Km from the DMZ.

비무장지대와 달리 민통선은 민간인이 군의 통제하에 생활하면서 수많은 애환을 만들어낸 곳이다. Unlike the DMZ, the CPRL is where civilians live under military control which has resulted in numerous sad incidents.

첫번째 슬라이드는 비무장지대와 민통선의 풍경이며 두 번째 슬라이드는 민통선지역에서 가장 대표적인 전쟁의 상처인 대인지뢰문제를 다루고 있다. The first lots of pictures show the scenery of the DMZ and the CPRL, and the second lot deals with anti-personnel landmines , one of the biggest scars of the war.
(3분)

비무장지대 슬라이드 중간설명
비무장지대의 동쪽은 높고 험한 산악이며 서쪽은 완만한 구릉이 이어진다. The eastern side of the DMZ has high mountains, whereas rolling hills are the main scenery in the wast.

이곳은 전쟁 전 남과 북을 연결하던 수많은 하천과 오솔길과 기차길이 끝나지 않은 전쟁의 긴장속에 묻혀있는 곳이다. Numerous streams, footpaths, and railways that used to link North and south are buried among the tension of the unfinished war.

전쟁으로 인한 비극의 풍경들이 아름다운 것은 이상을 포기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These tragic sceneries are beautiful only because we didn’t give up the hope and the vision.

이곳은 판문점으로 알려진 비무장지대내 공동경비구역의 돌아오지 않는 다리이다. This is the bridge of no return in what’s known as Panmunjum, the joint security area in the DMZ.

저 다리의 중간이 군사분계선이다. Halfway up the bridge lies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MDL).

이곳엔 체제경쟁의 상징인 백 미터 높이의 국기가 휘날리고 있으며 군인들의 긴장된 자세와 시선으로 총성보다 더한 긴장이 흐르는 곳이다. Two national flags, both more than 100 meters high, fly as a symbol of the rivalry between the clashing ideologies. The presence of alert and nervous soldiers heightens the tension more than any sound of actual gunfire.
   
이 건물은 노동당사로서 자유주의 남한에 존재하는 유일한 사회주의건물 유적이다. This is the Korean Workers party or the KWP building, the only socialist building in capitalist south.

노동당사 건물의 복도 끝에 서있는 사람은 전쟁 당시 이 건물의 주인이었던 노동당청년위원장이다. At the end of the corridor, you can see the then owner of the building, chairman of KWP youth committee..
그 다음은 주한미군의 버스 중령이란 사람이다. The next is Lieutenant Colonel Buss of the US Army in Korea.
그 다음은 한국전쟁의 남측 참전용사이다. Next person is a war veteran from South Korea. 그 다음은 대인지뢰 피해자이다. The next is a victim of an anti-personnel landmine.
비어있는 노동당사 복도는 역사의 무대이다. This empty corridor of the KWP party building has witnessed the history unfolding itself.

대인지뢰 중간설명
글귀를 그대로 통역하여 읽어주면 되겠습니다.

http://www.siwoo.pe.kr/eng_gall/gall03.htm 

영어번역글은 앞의 주소에 있는 갤러리를 넘기다 보면 일치하는 사진과 설명글을 만나실것입니다.
The mine feeds on the line of division, On the war that does not end.

The water that flows entangled like tears Has rusted the mine surprisingly fast.

People, risking their lives, try to irrigate the mine field, because their love of land is far greater than their fear of mines. People learn about land through farming. And only through agriculture earth becomes land

One night I woke up in fright As I felt as though my toes were moving.
Though my body gets used to cheap clutches, My flesh tears easily, heals and eventually dies off. The flesh has a grain that hands can touch, Therefore it is the unity of mind and sensibility.
The artificial leg, leaning against the wall of a room, Is looking at its master. There is much conflict between flesh and stump.

The greatest tragedy of the artificial leg is that it can take the place of the victim’s leg but not his flesh.
 
 

War is a most positive proof that we still live in the age of the savage. It has forced us to choose if we are either friends or enemies, or either left or right. We have never been given a chance of saying that we are neither enemies nor friends, or neither right or left, but just men. On the other hand, it has created many possibilities of destroying men, and the mine is just one of the possibilities. In the sense that man has created mines and yet he cannot control them, it is the most tragic weapon.
The mine does not inflict a wide range of damage all at once, but it is a weapon which maintains a slow but ceaseless state of war and destroys humanity. Herein lies the immoral and inhuman aspect of the mine.Jody Williams, organizer of the Worldwide Ban on Anti-personnel mine campaign, came to know, while working for her son in the American Foundation of the viet Nam War Participation, that so many American soldiers in Viet Nam had either died or had been wounded as a result of stepping on mines they had themselves laid and threw herself headlong into the movement. Through international cooperation by means of internet Jody and ICBL were able to produce the ottawa Agreements to which 133 nations were the signatories and 57 out of these nations have received their congressional ratification. For this outstanding achievement she received a Novel Peace Prize.
Jody is a very ordinary lady who is neither a fighter nor a holy person. if there is another hope that she gives us, it is that the age of the common people, in which ordinary people direct the affairs of the world, will come with an immense possibility.
 

한강하구 평화의 배 띄우기 사전 설명
이제 두번째 슬라이드를 보자. Let’s have a look at the second slide.

민통선과 비무장지대를 다니면서 뒤늦게 알게 된 사실이 하나 있다.
While I traveled the CPRL and DMZ, I realized one thing.

유엔군은 단한명도 비무장지대를 지키는 초소에서 찾아볼 수 없지만 비무장지대에 대한 모든 관리권은 유엔사령부가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That is, even though you can’t see any UN soldier guarding the sentry post in the DMZ, the administrative authority over the DMZ lies with the United Nations Command (UNC).

뿐만아니라 민통선지역의 대인지뢰 피해나, 고엽제피해 등이 모두 유엔군사령부가 작전통제권을 가지고 있던 시절에 발생한 사건이란 것이다. On top of that, all the civilian casualties of landmines and the victims of the Agent Orange, the notorious defoliant were produced during the period when UN had the operational control.

유엔군사령부는 한국전쟁 당시 유엔안보리 결의에 의해 창설되어 전쟁을 수행했지만 유엔사령관을 지휘하는 것은 유엔군사참모위원회가 아니라 미 합참의장이다. The UNC was created to fight the war under the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 during the Korean War, but the command lies with US joint chief of staff, not with the UN military staff committee.

이런 비합리적인 이유로 1975년 유엔총회에서는 유엔사의 해체결의가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엔사를 지휘하고 있는 미국은 유엔사를 해체하지 않고 있다. For these reasons, the UN general meeting passed a resolution to disband the UNC with which the U.S. has not complied yet.

유엔사해체는 한반도 비무장지대의 문제뿐아니라 미국의 패권 앞에 유린당하고 있는 유엔헌장의 권위를 회복하기 위해 유라시아의 평화적 연대세력이 다시 한번 지혜를 모아야할 주제이다.  Disbandment of the UNC is not only an issue of the DMZ on Korean peninsula. It is also about regaining the authority of the UN constitution that has been compromised by the US. I urge all the peace alliances in the Eurasian continent to unite to achieve this goal.

유엔사를 해체하기 위한 나의 첫 작업은 한강하구에서 시작됐다. My campaign to disband the UNC started at the mouth of the Han-river.

지도를 다시 보자. Let’s look at the map one more time.

비무장지대는 육지에만 있고, 이곳은 유엔사령관의 관리권이 정전협정에 의해 보장되고 있는 곳이다. The DMZ exists on land, and the administrative authority of the UNC over this matter was given by the truce agreement after the Korean War.

그러나 강과 바다에는 비록 남과 북이 대치하고 있지만 비무장지대나 군사분계선은 없다. 때문에 유엔사령관의 관리권도 없다. However, over the rivers and seas, there is no DMZ or MDL. Hence no ‘UNC authority here’

전후 50년간 강과 바다에도 마치 군사분계선이 있는 것처럼 사람들은 오해하고 있었고 그 때문에 바다에서는 두 번이나 큰 교전이 발생했다. Over the last 50 years, people have mistakenly thought that there was such a dividing line over the rivers and seas, resulting in two fairly large-scale battles.

이런 오해를 풀고 한강하구에는 유엔사의 관리권 없음을 선포함으로서, 남북이 유엔사의 허가없이 자유롭게 항해하기 위해서 나는 이곳에 배를 띄우는 계획을 추진했다. To rectify these misunderstandings and to let everybody know the fact that the UNC doesn’t have administrative authority over the mouth of the Han-river, and to make it clear that nobody needs permission from the UNC to sail on these waters, I launched a plan to put ships there.

올해 7월27일 유엔사와 국방부는 나와 동료들의 주장이 전적으로 옳음을 시인했고, 300명이나 실은 여객선이 50년간의 금기를 깨고 이곳을 항해하는데 성공했다. July 27th this year, the UNC and the Ministry of Defense conceded that I and my colleagues have been right all along, and we succeed to put a passenger ship with 300 people on board on the mouth of the Han-river.

아무도 이일이 성사될 것이라 생각하지 않았던 초기에 이 계획을 상상하고 알리기 위해 만들었던 슬라이드이다. These slides were made to help people visualize our plan, and garner support, when nobody imagined that the campaign will be successful.

(50초)

 
한강하구에 평화의 배띄우기 대한 설명 (작은글씨는 삭제하는 글입니다)

한강 하구를 아십니까? This is the mouth of the Han River.
임진강과 서울의 한강이 만나 서해에 이르는 강을 한국전쟁 전에는 조강이라 불렀습니다. 그러나 지금 이곳의 공식명칭은 한강하구입니다. Imjinriver and hanriver meet here to reach the west sea. This area was called 조 river before the Korean war. The official name now is 한강하구 which means the mouth of han river.

(기수역사진) 
이곳은 민물과 바닷물이 만나고, 한반도의 모든 뱃길이 모여 나라밖과 어울리던 곳이었습니다. 이곳은 생태의 보고이자, 한반도 역사의 자궁이었으며, 문명의 정점이었습니다. This is where fresh water meets sea water, and inland water transportation meets the world. This is the ecological paradise, the birthplace of Korean history, and civilization.

(한강철책사진) 
그러나 전쟁이 끝나고 강화에서 서울에 이르는 강의 양쪽에는 철책선이 세워졌습니다. 조강과 한강은 정치적인 호수가 되고 말았습니다. 국제적 항구도시였던 서울이 분단의 철책에 포위되어 강변도시로 전락해버렸습니다. 우리의 기억 속에서 한강하구는 어느새 잊혀져 버린 것 같습니다. But after the war, wire fences were put up on the bank of either side of the river from Kangwha to Seoul. Jo river and han river became a politically created lake. Seoul changed from an international port to a mere riverside city surrounded by the barbed wires of division. Andmemories of the Han-river as a international waterway has faded away.

(김포대교수중보사진) 
한강의 김포대교 아래에는 수중보가 있어 한강의 배들은 더 이상 나아가지 못합니다. 한강이 막히자 우리의 상상력도 막혀 버렸습니다. 동북아를 한눈에 훤히 바라봐야 하는 지금, 우리의 시야는 아직 한강조차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분단은 한강을 드나들던 뱃길을 막는 대신 눈물길을 만들었습니다. There is an underwater barrier down the river after the Kimpo Bridge, stopping any boat from going through. With a blocked river, our imagination has been cut off as well. The division of the nation severed the waterway, leaving tears and sighs in its place.

(오두산전망대 설명판사진, 지도)
연간 수백만 관광객이 찾는 오두산 통일전망대의 안내판에는 남과 북 사이로 흐르는 임진강과 한강의 중간선에 ‘군사분계선’ 이란 글씨가 박혀있습니다. 그러나 정전협정 어디에도 한강하구에 군사분계선과 비무장지대가 있다는 말은 없습니다. Each year, millions of people visit Odu Mountain Tong-il observatory. On the notice board, however, there is a ‘DML’ in the middle of Imjin and han rivers that run through North and south. And yet nowhere in the ceasefire agreement can we find a mention of MDL of DMZ in the mouth of Han-river area.

(정전협정지도)
정전협정 1조 5항에는 ‘한강하구수역은 쌍방 민간선박의 항해에 이를 개방한다’ 라고 되어 있습니다. 정전협정에 의하면 군사분계선과 비무장지대는 육지에만 있습니다. 정확한 비무장지대의 서쪽 끝은 자유로를 타고 가다가 오두산 통일전망대를 지나 낙하리근처에서 바라보이는 임진강 건너 장단입니다. Truce agreement says ‘the region of the mouth of Han-river is open to civilian ships from both sides’. According to truce agreement, the MDL and the DMZ exist only on land. The west side of the DMZ ends in Jangdan, across the Imjin river. You can see 장단 from 오두산 mountain unification observatory.

(전방초소의 한국기와 유엔기 사진)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 군사분계선 북쪽 비무장지대 관리권은 중국군과 인민군에게, 남쪽 비무장지대 관리권은 유엔군사령부에 있습니다. 전방 철책을 지키는 것은 한국군이지만 우리는 지키기만 할 뿐 단 한줌의 관리권도 없습니다. 경의선과 동해선 공사가 끝난 지 오래되었지만 아직 기차가 다니지 못하고 있는 것도 이 사실과 무관하지 않습니다. Shall we have a closer look? The administrative authority over the north side of DMZ lies with the Chinese and the North Korean army, and south side with UNC. South Korean soldiers stand guard there, but we don’t have a pinch of administrative authority. This is one of the reasons that there is no train yet on the already finished 경의 and 동해 railway lines.

(판문점 설경사진)
혹시 2000년 11월 17일 어떤 일이 있었는지 아시나요? 이날은 비무장지대 역사에서 가장 기록할 만한 날이었습니다그것은 경의선과 동해선 지구를 남북의 군인이 관리하도록 하는 ‘남북관리구역‘에 대해 유엔사와 인민군이 합의한 날이기 때문입니다아주 작은 일부에 불과하지만 한국군에게 비무장지대에 관한 관리권이 양도된 것입니다.그러나 2년 뒤 유엔사는 남쪽이 북의 지뢰제거 작업을 독촉하기위해 남북지뢰제거상호교환사업을 제안했을 때 군사분계선을 넘는 것은 여전히 유엔사령관의 허가사항이라며 이를 막았습니다.관리권(administration)은 남북에게 있지만 관할권(jurisdiction)은 여전히 유엔사에 있다는 해석이었습니다.그러나 정전협정 어디에도 관할(jurisdiction)이란 말은 없습니다.오직 관리(administration)란 단어만이 쓰이고 있습니다. 남북관리구역에 대한 인민군과 유엔사간 합의서는 분명 정전협정상 유엔사가 행사하던 관리권의 일부를 우리 정부에 넘긴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 상식임에도 불구하고, 유엔사는 억지를 부리고 있는 것입니다.이 문제는 아직도 남북 교류의 큰 장애중 하나로 남아 있습니. . Do you know what happened on Nov. 17th 2000. It is the most significant day in the history of DMZ. On this day, UNC and North Korean Army agreed to have joint administration over 경의, and 동해 railway lines by north and south Korean armies. It was a small start. But part of the administration of DMZ was transferred to south Korean army.. However, 2 years later, UNC said no when the south suggested exchange visits and operations to clear landmines. It was to encourage the north to speed up the clearing up operation. UNC’s refused it on the ground that we have to obtain permission to cross DML. The UNC argued that the administration is under the two Koreas, but the jurisdiction still lies with UNC. And yet nowhere in the truce agreement can we find the word ‘jurisdiction’. It uses the word ‘administration’ only. The agreement on Nov. 17th should mean part of the UNC’s administration was transferred to the South Korean government, but UNC is making unreasonable claims of jurisdiction.

(한강하구 사진)
그러나, 한강하구는 다릅니다. 한강하구는 비무장지대의 서쪽 끝인 사천강 위쪽에서 시작되어 강화도 끝섬 말도부근에서 끝납니다. 푸른색 부분이 한강하구입니다. 한강하구에 유엔사령관의 관리권 같은 것은 없습니다. 굳이 있다면 선박의 통항규칙을 정할 수 있는 권리뿐입니다. 그 통항규칙이란 선박이 폭풍이나 조류의 영향으로 재난을 당하였을 때 그 선박과 인원이 어느측에 속하였든지 쌍방은 모두 이를 구제할 책임을 진다든가하는 아주 실무적인 규정입니다. But The mouth of hanriver region is different. It starts from upper 사천 river which is the west end of the DMZ and finishes at 말 island that is part of 강화 islands. The blue bit is the hanriver mouth area. There is no such thing as UNC’s administrative rights over this region. If there is anything, there is a right to set up navigation regulation for the passing ships. This navigation regulation is something very practical such as both parties agreeing to rescue any ship in distress regardless of their nationality.

(백령도 북방한계선모형)
서해 5도에 북방한계선이 있고 이 선을 넘으면 육지의 군사분계선을 넘은 것과 같다고 오해하는 바람에 두 번이나 서해교전이 일어났습니다. 그러나 군사분계선은 육지에만 있습니다. 북방한계선은 남측군인이 북으로 더이상 넘어가지 못하도록 통제하기 위해 만든 유엔사의 내부규정이었을 뿐입니다. 북과 단 한번도 합의된 적 없는 임의적인 선인 것입니다. 우리가 지금까지 북방한계선을 군사분계선인 것처럼 오해하고 있는 것은 한강하구에서부터는 군사분계선과 비무장지대가 없다는 사실을 잊고 있기 때문에 생기는 넌센스입니다. 결국 제 3의 서해교전을 막기 위해서라도 우리는 한강하구의 성격을 제대로 이해해야만 하는 것입니다. 
There is the northern Limit line(NLL) in the west sea. And two battles broke out there just because crossing this line amounts to crossing the MDL on land. Of course it was a sad misunderstanding. MDL exists only on land. NLL was drawn there under UNC’s own regulation to stop soldiers from the south going to the North. It is an arbitrary line that has never been agreed upon with the north. We have mistaken NLL for MDL because we have forgotten that there is no MDL or DMZ on Han river mouth region. We must understand the nature of this area if we don’t want another battle breaking out there.

(해안절벽사진) 
군사분계선을 통과하는 모든 것이 유엔사령관의 허락을 받도록 되어 있는 것과 비교한다면 한강하구는 민간인에게 개방된 분단의 해방구와도 같은 곳입니다. 이것이 확인된 일이 이미 있었습니다.
Everything and everyone that crosses MDL has to obtain permission from the UNC, whereas the mouth of hanriver area is a division free zone that’s open to all civilians. This was confirmed once.

(배항해사진)
1990년 11월 24일 놀라운 일이 일어났습니다. 분단 후 최초로 이 강에 배가 지나간 것입니다. 통일을 대비해 만들던 자유로 공사의 작업선이었습니다. 당시 유엔사령관의 특별고문이었던 한국인이 유엔군사령관을 설득해서 이루어진 일이었습니다. 이곳이 군사분계선도 없고 비무장지대도 아니라는 사실이 증명된 것입니다.
Nov. 24th 1990 witnessed an astonishing event. While constructing 자유 motorway meaning freedom motorway built in preparation of the reunification, a ship sailed across the river, for the first time since the division. A Korean special aide to chief of UNC managed to persuade him. This incident proved the fact that there is neither MDL nor DMZ.

(김포애기봉 건너 북한 사진)
북이 손에 잡힐 듯 내려다보이는 산 정상에서 여백처럼 비어 있는 한강하구를 바라보며 상상의 나래를 펼쳐봅니다. 전쟁 전 조기와 소금을 실은 강화 시선배가 선단을 이루어 능청능청 한강을 거슬러 올라가던 모습을 말입니다. 이제, 우리는 다시 그 뱃길을 열어보고자 합니다.
From here at the top of the mountain, the North looks so close it feels as though I can touch it if I reach out, and to the south han river spread out like a clear empty sheet. I imagine. I can picture fleets of ship heavy with fish and salt slowly sailing up the Han river as they did before the war. Now we are working to open this waterway again.

(서울한강사진)
남과 북이 화해의 역사를 열어갈 귀중한 기회가 한강하구에 있습니다. 경의선과 동해선이 정전협정에 큰 변화를 가져온 일대 격변이라면 한강하구는 정전협정의 합의를 지키기만 하면 되는, 더 쉽고 안전한 길입니다. 한강하구의 뱃길을 여는 것은 존재하지도 않던 금기를 툭툭 털어내는 일입니다.
We can find in the mouth area the Han river a precious opportunity to open a new era of rapprochement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경의 and 동해 railways brought abouta significant change in the Truce agreement, but opening a waterway in han river mouth is a much safer approach where all we have to do is to observe the rules laid out by the the ceasefire agreement. It is an act of dispelling a taboo that didn’t even exist.
(임진강사진)
강화도의 어민들은 어로한계선을 북상시켜 자유로운 어업을 보장 받을 것입니다. 농민들은 청동오리가 유기농 농사를 훌륭히 마치고 난 뒤 북에 있는 동포들에게 청동오리를 배에 실어 보내게 될 것입니다. 배를 타고 고향을 떠났던 이산가족은 배를 타고 고향땅에 다시 발을 딛게 될 것입니다.
막혔던 뱃길이 열려 개성과 인천공항이 1시간 거리가 되는 상상. 이 얼마나 즐거운 일인가요?
The fishermen of 강화 island will be guaranteed uninhibited fishing in extended fishing zone. And farmers on both sides will be able to share their farming resources. The people who had to take boats to leave hometown behind before the division will be able to take boats back home. Just imagine arriving in 개성 in one hour after leaving Inchon Airport via reopened waterway! What a happy dream!

(돌아오지 않는다리 사진)
현재 한강하구의 뱃길을 여는데 최종결정권을 가진 것은 안타깝게도 우리 정부가 아닌 유엔사입니다. 하지만, 한반도의 평화유지를 위해 주둔하는 유엔사가 평화를 꿈꾸는 노력을 부정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유엔사령관을 만나야겠습니다. 함께 평화의 물결을 일으킬 수 있는 많은 시민들을 만나야겠습니다. 만나서 이야기하고 설득해야겠습니다.
The final decision to open the waterways in han river mouth region lies with UNC, not the Korean government. That’s why we have to meet head of UNC. That’s why we are reaching out to the citizens together with whom we can start the wave of peace. We have to meet and persuade them““`
(판문각사진) 
무엇보다 우리 스스로에게 덧씌워져 있던 무지와 관성을 성찰하는 일이 중요합니다. 막혔던 상상력이 열리고 무지와 관성에서 벗어나, 나 자신과 새롭게 만나는 감동이 빚어질 때, 평화의 시냇물은 우리 곁에 흐르기 시작할 것입니다. 우리 곁의 사람들을 울리며 퍼져나가는 평화의 물줄기가 모이고 모여  강을 이루고, 마침내 넘실대는 평화의 바다를 이루어낼 것입니다. 한강하구에 평화의 배를 띄우기 위한 준비모임을 제안합니다.
Most important thing is to look inside ourselves to realize that we have been slaves to our ignorance and inertia. When we can imagine what have been inhibited, when we can free ourselves from the ignorance and inertia, we’ll be able to renew ourselves and hear the sweet songs of streams called peace.

(할아버지와 손녀사진)
결국 한강하구의 뱃길을 복원하는 것은 잊혀진 우리의 삶을 복원하는 일입니다. 과거에 대한 기억은 곧 미래에 대한 상상이기도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이 일을 강화와 김포, 서울과 고양, 일산과 파주지역에 살고 있는 분들의 한강하구에 얽힌 기억의 실타래를 풀어내고 그 기억을 경청하는 일로부터 시작하려고 합니다. 그 기억들을 온전히 되새김으로써 우리는 한강하구가 꿈꾸게 될 미래를 다시 볼 것이기 때문입니다. 여러분들의 과거를 나눔으로써 우리의 미래를 새롭게 쓰고 싶습니다. 고맙습니다.
To restore the waterways in the mouth of the han river region is to restore lives that we have forgotten. Memories of the past leads to the vision of the future, I want to rewrite our future by sharing our past. Thank you.

맺음말
사과라는 말을 들으면 머릿속에 사과가 연상되는 것이 정상인이다. Any sane person would picture an apple in their mid, when they hear the word ‘apple’.

사과라는 말을 듣고 배가 떠오른다면 그것은 정신분열증 증세를 가지고 있는 증거이다. If you think of a pear when somebody says apple, then you need help.

비무장지대란 말의 의미는 ‘무장하지 않은’ 이란 뜻이다. 그러나 비무장지대라는 말을 들으면 한국사람들은 무장한 군인과 온갖 중무기가 배치된 중무장지대를 생각한다. 여러분도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Demilitarization’ means ‘no military’. But say it to any Korean and he will picture in his mind armed soldiers in a heavily militarized zone.

비무장이란 말을 듣고 ‘중무장’을 떠올리면서도 자신의 분열증을 전혀 의심하지 않는 상태, 냉전과 분단의 잔재를 안고 살아가는 우리의 모습이다. The word ‘Demilitarization’ reminds them the exact opposite and yet nobody doubts their sanity. That’s Koreans who have to live with the relics of Cold War and divided homeland.

전쟁은 총을 무기로 민중을 통제하지만 분단은 관성을 무기로 사람을 통제한다. In war, guns dictate the people. In divided korea, inertia dictates people.

나는 이 관성을 깨지 않고 우리가 과연 자유로울 수 있는가를 질문한다. I question whether we can be free without breaking free from this inertia.

자유의 반대는 구속이 아니라 관성이다. The opposite of freedom is not restriction, but inertia.

이 책이 관성과 싸우기 위한 우리의 평화적 무기가 되길 바란다. I wish this book serves as a peace weapon to fight inertia.
(50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