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수지원함. 잠수모함 이시우 2004/03/25 351

http://www.navy.mil.kr/pds/warship_read.jsp?szSeq=1&szSrchType=0&szKwd=&pg=2&pgrp=1

http://100.naver.com/image.php?id=25147

잠수함 지원함이라고도 한다. 잠수함이 필요로 하는 탄약·미사일·어뢰를 비롯하여 음료수·식량·연료·일용품 등을 보급하고, 의장품(艤裝品)·기관·무기·장비품 등에 대한 간단한 수리·정비와 부품의 교환을 실시한다. 또한 승무원에 대한 휴양·숙박·치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잠수함작전을 지휘하는 기함(旗艦)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도 있다.

초기의 잠수함인 잠수정은 100t 정도의 소형함이어서 항양성(航洋性)도 없을 뿐만 아니라 승무원의 주거시설도 빈약하여, 승무원의 주거·보급지원을 위한 지원함이 꼭 필요하였다. 따라서 상선·어뢰정모함·포함 등을 개조해서 잠수모함을 만들어, 잠수함의 연안 행동시와 군항에 정박 중일 때도 따라다녀야 했다. 잠수함이 대형화되고 항양성을 갖추게 되면서도, 잠수함의 전진기지 역할을 수행하는 모함의 필요성에는 변함이 없었기 때문에 모함도 대형화되어 제1차 세계대전 말기에는 1만 t급의 대형함도 등장하였다. 제1차 세계대전 이후 함대용 잠수함이 발달함에 따라 새로이 지휘통신시설이 갖추어지게 되고, 승무원의 주거·휴양, 수리·정비기능이 더 강화되었다.

배수량에 따라서 대형(1만 t급)·중형(3,000∼6,000t급)·소형(1,000∼2,000t급)으로 나누고, 임무에 따라서 양상(洋上)에서의 잠수함 지휘용, 잠수함작전을 위한 전진기지용·연안용으로 구분되어 각 임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시설·장비 등을 갖추었다.

현대의 잠수함은 복잡한 항해·조종장치·소나·전자장치 등을 갖추고 있으므로 모함의 정비시설, 부품·보급품의 탑재시설도 그만큼 강화되고 있다. 원자력잠수함이 출현하면서 원자력추진기관에 대한 특수한 수리 정비시설이 필요하게 되었고, 폴라리스잠수함에는 탑재된 미사일의 격납·정비 등까지 담당하게 됨에 따라 미국에서는 폴라리스잠수함 전용의 2만 t급 대형 모함을 건조하였다. 이 모함에서는 핵연료의 교환까지 행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