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부대 심볼 이시우 2006/03/29 355
미군부대별 심볼 작전도형을 볼수있는 주소입니다. http://www.globalsecurity.org/military/agency/army/symbols.htm http://www.globalsecurity.org/military/library/policy/army/fm/101-5-1/f545con.htm#contents
오스미함과 일본의 해상잠재력 이시우 2004/01/24 520
오스미함과 일본의 해상잠재력 http://members.tripod.com/panzer99/osmi.html 이 글도 아래와 마찬가지로 해군본부 발행 ‘기술정보’지를 전재한 것입 니다. 아쉽게도 해군의 양해는 구하지 못했습니다. 이 글은 하이텔 군사동 회원이신 진병관님께서 올려주신 글입니다. ——————————————————————————– ■제목: 오스미 함을 계기로 본 일본의 해상잠재력 ■출처: Jane’s International Defence Review…

해자대의 오스미함 이시우 2004/03/01 496
일본 해상자위대 ‘오오스미’ 상륙함 오오스미 상륙함 개발배경 일본 해상자위대는 대양작전을 목적으로 강력한 수상전투함으로 구성된 4개 호위함대를 보유하고 있으나 대양해군의 상징인 항공모함이 없고, 상륙함의 능력이 떨어져 대규모 상륙작전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방어적인 전력으로 평가받고 있었다. 그러나 오오스미급 상륙함이 건조되어 배치된…

성남 캠프 리치몬드(탱고) 이시우 2004/01/11 568
성남의 CP(지휘소)탱고로 알려진 캠프입니다. 그러나 탱고는 위치가 바뀌는 것으로 판단 됩니다. 기록에 따라 용산이었다가 춘천이었다가 변동이 있습니다. 기지의 개념이 아니라 지휘소이기 때문에 그것은 일견 타당한 일이기도 합니다.
미육군의 지능형 전술작전소 이시우 2003/12/28 479
미육군의 지능형 에이전트 기반 전술작전소 http://www.dema.mil.kr/jour/jour01.html 현재 운영되는 전술작전소(Tactical Operation Center: TOC)의 비 능률성, 고도의 복잡성 및 이동성의 부재는 고도로 역동적인 비선형 미래전장에서 전술작전소의 효율성을 저해하게 될 것이다. 현재 전술작전소를 운영하는 데 필요한 광범위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인력자원은 미래전장에서 예측되는 전술작전소의…
아프간 영구적자유작전 총괄 이시우 2004/03/24 159
http://www.globalsecurity.org/military/ops/enduring-freedom.htm

태평양지역 육참총장 프로필 이시우 2003/12/28 453
태평양지역 육참총장 프로필 http://www.dema.mil.kr/jour/jour01.html 네팔 육군참모총장 대장 타파 (Pyar Jung Thapa) 나 이 : 57세 출생지 : 카트만두 출 신 : 트리부완대 졸 경 력 : 공수부대 장교 임관(1964), 유고슬라비아 UN군 서부지역 부지휘관(92), 육군참모총장(2002.9.9) 가 족 : 부인과 3녀 뉴질랜드…

우주정보감시체계 이시우 2003/12/28 357
우주정보감시체계 http://www.dema.mil.kr/jour/jour01.html 옛소련이 역사상 처음으로 인공위성 스푸트니크(Sputnik)를 우주공간으로 쏘아 올린 지도 어느덧 반세기가 다 되어가고 있다. 그동안 과학기술의 급진적인 발전에 힘입어 우주공간은 지상과 바다, 하늘에 이어 인류의 새로운 활동터전으로 부각되고 있다. 인류는 1950년 후반 이후 약 40여 년 동안 끊임없이…
기동전 개념 변화 이시우 2003/12/28 210
http://www.dema.mil.kr/jour/jour01.html 현재 한미연합군사령부가 행사하고 있는 한국군에 대한 ‘전시 작전 통제권’이 우리 군에 이양될 경우 문제점은 없는지. 환수를 위한 필요한 절차, 준비사항 및 제도적 장치는 무엇이며 어떻게 마련해야 하는가. 이에 따른 문제의 지적과 대안을 함께 제시한 논문을 안광찬(安光瓚57육사 25기예비역 소장)장군이 발표했다….
한국적획득체계 이시우 2003/12/28 255
한국적획득체계 http://www.dema.mil.kr/jour/jour01.html 전력증강 분야에 근무하는 3년 동안 이곳이 최전방이라는 생각을 잠시도 잊은 적이 없다. 왜냐하면 총성은 없지만, 실무자의 잘못된 판단으로 예산낭비, 불필요한 성능포함, 전력화 차질이라는 눈에 보이지 않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입 초기에 그저 주변에서 하는 말을 뜻도…
최근 답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