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잠수함이 미제가 아닌 이유 이시우 2004/03/17 450
http://ezgun.mytripod.co.kr/whatsup/submarine.htm
한국 잠수함이 미제가 아닌 이유는?
KDX-1,2는 미제와 유럽제 ‘혼합’
209급 잠수함 : 독일제 디젤 잠수함으로 통상 디젤로 구동하며, 전투시에는 배터리를 이용하여 움직인다.
길이 60m
만재배수량 1300톤
승무원 30~40명
어뢰발사관 8문
3800마력 디젤엔진 4대
배터리 추진형 잠수함.
‘바다의 게릴라’ 잠수함을 잡아라
@신동아2001.7월
’98년 림팩 이종무함 전과 소개
해군력 소개
@ 해군 홈페이지
한국 잠수함이 미제가 아닌 것은 독일 입장에서 봤을 때는 운도 따랐다. 미국의 디젤 잠수함 건조기술이 워낙 뒤떨어져 ‘명함’을 내밀 형편이 안됐기 때문이다.
미국은 2차대전 뒤 대형 원자력 잠수함 건조에만 주력해왔고 디젤 잠수함 기술이 낙후됐다. 따라서 록히드 마틴 등 미 군수업체는 그동안 독일 HDW나 스페인 IZAR사와의 공동건조를 통해 기술을 이전받으려 노력해왔다. 그러나 이 회사들은 거부했다.
▲ 209급 나대용함이 하푼 미사일을 수중에서 발사한 뒤 부상하고 있다.
대만 해군은 미제 디젤 잠수함인 ‘구피’를 보유하고 있지만 교육용으로만 사용하고 전투용 잠수함은 프랑스제를 구입했다. 지난 2000년 209급 이후 차기 잠수함(총 사업비 9734억원) 입찰경쟁에 미국은 끼지못하고 독일 HDW와 프랑스 SCORPENE가 경쟁했다.
그러나 혹시 미국이 입찰에 참여했다면 1996~2002년 F-X (총 사업비 5조6623억원), KDX-3 전투체계(총 사업비 1조921억원)에 이어 3번째 규모였던 차기 잠수함 사업을 다른 나라가 따낼 수 있었을지 의문이다.
한국의 KDX-1·2 구축함은 미제와 유럽제 장비가 섞인 ‘혼합형’이다. 단 이 구축함의 레이더와 주요 무장이 모두 외제로 ‘껍데기’만 국산인 것은 국내 방위산업의 현 주소를 말해준다.
함대공 미사일(시스패로우, 스탠다드), 함대함 미사일(하푼), 대공레이더(SPS-49V5), 어뢰는 미제다. 수상·사격통제 레이더는 네덜란드 ‘시그날’(현재 탈레스 네덜란드), 소나는 독일 ‘STN 아틀란틱 일렉트로닉’, 전투정보 시스템은 영국 ‘BAeSEMA’ 등 유럽제다.
5인치(127mm) 함포는 이탈리아 ‘오토브레다’사 것, 2대를 탑재하는 대잠 헬기는 영국제 ‘슈퍼 링스’다. 미사일 요격용 단거리 미사일은 미제 ‘RAM’, 미사일 요격용 대공포는 네덜란드제 30mm ‘골키퍼’를 장착한다. 엔진도 고속용은 미 제너럴일렉트릭사 가스터빈 엔진, 중저속 및 순항용은 독일 MTU 디젤엔진이다.
미제 레이더가 한국형 구축함에 다가오는 적기나 미사일을 포착하면 네덜란드제 사격통제 레이더가 작동해 1차로 스탠다드 미사일을 발사한다. 대공 표적이 30km안에 접근하면 2차로 시스패로우(미제)가, 더 가까이 오면 3차로 RAM(미제)이 발사되고 맨 마지막에 네덜란드제 골키퍼가 요격한다.
공군은 훈련기로 영국제 호크를, 중거리 수송기는 스페인제 CN-250을 운용한다. ‘레이더경보수신기(RWR)는 지난 1999년 도입한 이스라엘제 ‘SPS-1000(V)5′다. RWR은 전투기가 적의 레이더와 무기체계에 포착되고 있는지를 감지해 적절한 대응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전투기 생존에 기본적인 장비다.
육군 K-1A1 전차, K-9 자주포의 엔진은 독일 MTU 것이며, 지상 감시레이다 (RASIT)는 프랑스제, 다목적전술차량은 스웨덴제를 기아자동차가 면허생산해 육군에 공급했다.
(위의 글은 오마이뉴스에 김태경 씨가 올린 글에서 가져와서 보완한 내용입니다.)
전함의 종류
기능
명칭
운영 개념
해군함정 이름
전투함
항공모함 (CV / Multi-Purpose Aircraft Carrier) :
CV, CVH, CVHG, CVN
외국 주둔 기지없이 세계 전역에 해군의 독자적인 전력 투사 능력으로서의 역할
평상시 재래식 전쟁 억지력으로써의 역할 수행, 위기시나 분쟁시 공격거점으로써의 역할 수행
구분
톤수
보유국가
대형 항모 7만∼10만톤 미국(12척)
중형 항모 4만∼6만톤 러시아(1척), 프랑스(1척)
경 항모 1만∼3만톤 영국(3척), 이탈리아(2척),
프랑스(1척), 브라질(1척),
인도(1척), 스페인(1척),
태국(1척)
순양함 (C / Cruiser) :
CG, CGN, CH, CL
항공모함 전투단의 방어임무 수행 및 상륙 전력 지원
수상함대의 기함으로서 대 잠수함 작전, 대지 미사일 공격, 대 수상함 공격 등의 독자적인 작전 수행
구축함 (DD / Destroyer) :
DD, DDG, DDH, DE
대잠전, 대공방어, 항공모함 및 선단호위, 해상교통로 보호, 대잠초계, 해상구조 등 다양한 임무 수행
KDD-1 ; KDX(한국형구축함, 3850t )
대륙을 호령했던 장수나, 업적이 큰 왕의 이름
(광개토대왕함, 을지문덕함, 양만춘함)
KDD-2 ; (신형 구축함, 4500t)
바다와 관련된 인물의 이름
(문무대왕, 진짜 이순신)
호위함 (FF / Frigate) : FF, FFG, FFL
대잠전에 주로 운용되며, 대함전·대공전 및 상륙부대 ·해상보급부대의 선단호송임무 수행
FFK (호위함) ; 프리깃, 대한민국해군의 주 전력함 만재 배수량 2100~2300
도, 광역시, 대도시 이름이 붙습니다.(부산, 충남)
초계함 (P / Corvette) : PG, PGF, PGMG
연안 초계, 고속정 지휘
PCC ; 초계함, 대한민국 해군의 평상시 주력함정 만재배수량 1000t
중소 도시 이름이 붙습니다 (군산, 진해)
고속정(P / Patrol Boat) :
PB, PBF, PC, PCF, PCS, PT, PTG
연안방어 및 항만 방어용으로 운용
PKM ; 참수리, 서해교전때 나온 작은배
번호는 2xx 3xx 를 주로 단다
YUB ; 더작은 경비정, 가나다 등이 붙습니다
상륙함 (L / Amphibious Ship) :
LCC, LHA, LPA, LPD, LPH,
LSD, LST, LSM, LCAC, LCM
상륙부대(해병대)의 병력과 장비를 수송 및 전개
봉우리나 산이름이 붙습니다
(운봉, 북한 등)
잠수함 (SS / Submarine) :
SS, SSB, SSBN, SSN, SSG,
SSGN, SSM, SSK
적 잠수함 탐색·공격 세력으로 운용
전방 기동전투전대 외곽에 배치하여 정찰, 조기경보 및 대 수상함 공격
전략 핵무기 탑재하여 중요한 전략 임무 수행
바다 그것도 주로 일본과 관련된 장수들의 이름이 붙습니다
(이종무, 박위 등)
각국의 잠수함 분류표
기능
보유국
형식
명칭
척 수
취역
연도
수 중
배수량
(톤)
탑 재 미 사 일
형 식
기 수
사정거리
(해리)
최대탄두수
(MIRV)
탄두위력
(KT)
명중정도
(CEP)
미 국
오하이오
16+2
1981~
18,750
트라이던트Ⅱ
24
6,000
15
475
90
러시아
타이푼
6
1981~
26,500
SS-N-20
20
4,500
9
200
500
영 국
뱅가드
2+2
1993~
15,900
트라이던트Ⅱ
16
6,500
8
120
90
프랑스
르트리옴팡
0+4
1996~
14,335
M5
16
6,000
12
100
중 국
시아(厦)
1
1987~
8,000
CSS-N-3
12
1,460
1
2000
전략 핵잠
SSBN
탄도미사일
(SLBM) 탑재
공격 핵잠
SSN
배수량
미국
소련
독일
대한민국
북한
8300
프랭클린
7800
버지니아
7000
LA급
어뢰발사관이 4문
6800
Sea Wolf 급
- 어뢰발사관 8문
- 현재 2척이 실전 배치
디젤함
1800
214 class
차기 잠수함(KSS-3) 사양
209 + 측면배열소나 + 공기독립기관(AIP)
1500
212 class
1200
킬로급
209 Class
식별No.
함명
취역년도
비고
SS 061 장보고 1993
SS 062 이 천 1994
SS 063 최무선 1995
SS 065 박 위 1996
SS 066 이종무 1996
SS 067 정 운 1997
SS 068 이순신 1999 SUB-Harpoons
SS 069 나대용 2000 SUB-Harpoons
SS 071 이억기 2001 SUB-Harpo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