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hnston 존스턴환초, 하와이 미군상황 이시우 2005/09/13 271
1. 존스턴환초 영문자료
2. 하와이의 미군상황
3. 하와이 평화활동가들과의 인터뷰
http://www.globalsecurity.org/wmd/facility/johnston_atoll.htm
미국화학무기폐기 시설
Johnston Atoll
Kalama Atoll
On 31 July 2001 the U.S. Army Chemical Activity Pacific retired its colors on Johnston Island. The unit’s deactivation marked an end to 30 years of storing and handling chemical weapons stockpiles, and participating in the destruction of those weapons since 1990. Johnston Island, 825 miles southwest of Hawaii, was the only site where soldiers were entirely responsible for the storage, security and transport of the deadly chemical agents. Department of Defense contractors run eight other sites throughout the United States.
The island, only 2½ miles long and a half-mile wide, was home to a military police company and chemical company, along with a headquarters unit. Every soldier assigned to the island during the 30 years chemicals were stored there received special training in handling and emergency responses to chemical agents. The unit safeguarded and disposed of deadly sarin and VX nerve agents and assisted the Johnston Atoll Chemical Disposal System, a contract civilian group assigned to destroy the chemical agents. The two units destroyed more than 400,000 rockets, bombs, projectiles, mortars and mines. Two thousand tons of nerve and blister agent were also destroyed. The last of the chemical stockpile was destroyed in November 2000. There were no incidents or accidents in the unit’s 30-year history.
The last soldier left Johnston Island by ship on 17 August 2001, but some DOD contract civilians will remain. The Johnston Atoll Chemical Disposal System will continue to be dismantled and dispose of secondary hazardous waste from the chemical weapons destruction. That operation is scheduled to end in 2004.
Located 717 nautical miles southwest of Oahu, and 450 nm south of French Frigate Shoals in the Northwest Hawaiian Islands it is one of the most isolated atolls in the world. It rests on the core of an ancient volcanic island now buried under a limestone cap thousands of feet thick which resulted from 70 million years of reef growth on the slowly sinking island. Today, Johnston Atoll is a broad shallow platform of approximately 50 square miles with a marginal reef emergent only on the northwest. The atoll consists of four coral islands: Johnston Island, Sand Island, North Island, and East Island. At just over 625 acres, Johnston Island is the largest island and the base for all operations and management activities, including all personnel and community support functions. Johnston Island and Sand Island are natural islands, which have been expanded by coral dredging; North Island (Akau) and East Island (Hikina) are manmade islands formed from coral dredging. The four small islands of Johnston Atoll are home to over 200 species of fish, 32 species of coral, and 20 species of native and migratory birds.
There are about 960 civilian and 250 military personnel assigned to the island. The Johnston Atoll mission is to support the US Army chemical weapon storage and destruction program. Closed to the public, the atoll is an unincorporated territory of the US administered by the US Defense Threat Reduction Agency [formerly Defense Nuclear Agency (DNA)] and managed cooperatively by DNA and the Fish and Wildlife Service of the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as part of the National Wildlife Refuge system. Johnston Atoll has also been used by the military since the mid-1930s, serving as a refueling point for aircraft and submarines during World War II and as a base for airlift operations during the Korean War. It was also the site of several air atomic tests during the early 1960s.
Johnston Atoll is a military installation whose base operating support services are provided primarily by contractors. In addition to providing base support for the U.S. Army’s chemical destruction operation, DSWA provides base support for the Army-Air Force Exchange Service, the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and various other contractors who support a variety of island functions. The Pacific Division, Naval Facilities Engineering Command, administers the base operating support contract for JA with Kalama Services. Having completed the transition process between August and December 1995, Kalama Services, a joint venture of Holmes & Narver Services Incorporated, SERCo Incorporated, and Burns & Roe Services, reached full performance on 1 January 1996. Kalama performs a full range of base operating support services to maintain the island infrastructure and community viability, such as fresh water and power production, housing, food service, fire protection, law enforcement, clinical health support, and recreational activities.
Johnston Atoll was accidentally discovered on September 2, 1796 by Captain Joseph Pierpont of the American Brig Sally. He published a notice of his ship’s grounding in several American newspapers in 1797, giving an accurate position and noting the two original islands (Johnston and Sand) and the incomplete marginal reef. No traces or records of any earlier visitations or occupations by Polynesians or Europeans during their voyages of discovery exist. Lt. William Smith of HMS Cornwallis named the larger island for his ship’s captain, Charles J. Johnston, after sighting it briefly on Decernber 14, 1807.
The Guano Act of 1856 granted Americans the privilege of removing guano, the accumulation of sea bird excrement, from nearly 30 central Pacific islands claimed by the United States. For several years guano was removed from Johnston and Sand Islands before the operation was abandoned in the late 1800′s. During the late 1800s, the Atoll was claimed by both the Kingdom of Hawaii and the United States. This claim was settled when Hawaii became a U.S. Territory.
In 1923 the Biological Survey of th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and the Bishop Museum visited the islands with a scientific expedition to study the bird and marine life. Their findings resulted in Executive Order 4467 of President Calvin Coolidge designating the islands as a bird refuge. In 1934 by Executive Order 6935, Franklin D. Roosevelt placed the atoll under the Navy while retaining the earlier provisions for refuge designation and protection.
In 1934, Johnston Atoll was transferred to and managed by the U.S. Navy. Navy development began in earnest in 1936 with reef blasting, dredging, landfilling and grading and construction on the islands. The atoll was briefly shelled by Japanese naval units shortly after the Pearl Harbor attack but combat soon shifted west and the island’s role changed from an outpost to an aircraft and submarine stopover and refueling base.
It was transferred again in 1948 to the Air Force. In the late 50′s and early 60′s a series of highitude nuclear tests brought new activity and attention to Johnston atoll. A series of dredge and fill projects completed in 1964 brought the size of Johnston Island up to 625 acres from its original 46, increased Sand Island from 10 to 22 acres, and added two manmade islands, North (Akau) and East (Hikina) of 25 and 18 acres.
The Air Force retained operational control of Johnston Atoll until 1962, with the exception of 4 months in 1958 when Joint Task Force 7 held operational control. From 1962 to 1963, Joint Task Force 8 and the Atomic Energy Commission jointly held operational control of Johnston Atoll for the purpose of conducting high-altitude atmospheric nuclear testing operations. Joint Task Force 8 retained operational control of Johnston Atoll from 1963 to 1970 as the Limited Test Ban Treaty came into force identifying Johnston Atoll as the principal overseas readiness-to-test base. In 1970, Johnston Atoll was again transferred to the Air Force. Host-management responsibility for Johnston Atoll was given by the Deputy Secretary of Defense in July 1973 to DSWA (formerly the Defense Nuclear Agency), which continues to perform that mission.
In 1963, the Congressionally mandated Safeguard C provision to the Limited Test Ban Treaty (and subsequent Nuclear Testing Treaties) formed the basis for maintaining Johnston Atoll as a readiness-to-test site should the resumption of atmospheric nuclear testing be deemed essential to our national security. In November 1993, Congress zero-funded the Johnston Atoll Safeguard C mission and defined the military mission as storage and destruction of chemical weapons.
In 1999, the host base management responsibilities for Johnston Atoll (JA) transferred from the Defense Threat Reduction Agency (DTRA) to the Air Force. The 15th Contracting Squadron at Hickam Air Force Base manages the tenants of Johnston Atoll. The US Army operates JACADS on the atoll as a tenant unit of the 15th Air Base Wing, Hickam Air Force Base, Hawaii.
Under direction from the Department of Defense at the time of the transfer, DTRA remains responsible for completing the plutonium cleanup project on the atoll, with a goal of achieving a safe level for humans and the environment. The atoll became contaminated with plutonium through two aborted missile launches during high altitude nuclear weapons testing conducted in 1962. On February 1, 2000, DTRA sent a letter to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the U. S. Fish and Wildlife Service (USF&WS), and the Air Force, requesting their review and concurrence with DTRA’s proposed standard of 40 piocuries per gram (pCi/g) of plutonium in the soil as a final radiological cleanup standard. The cleanup level for Enewetak Atoll, also in the Pacific, was 60 pCi/g for agricultural areas and 40 pCi/g for residential areas. The proposed cleanup level for Rocky Flats, which is near Denver CO, will be between 35 and 600 pCi/g.
Beginning in 1964 a series of large open-air biological weapon tests was conducted downwind of Johnston Atoll. The American strategic bioweapon tests involved a number of ships positioned around Johnston Atoll, upwind from a number of barges loaded with rhesus monkey test subjects which were exposed to agents dispensed from aircraft.
Chemical weapons have been stored on Johnston Island since 1971. The weapons stored at Johnston Island include rockets, projectiles, mines, mortars, and ton containers, containing both nerve and mustard agents. The chemical munitions stockpile stored at Johnston Atoll originated from four locations. The Army leased 41 acres in 1971 to store chemical weapons formerly held in Okinawa, which were transferred to the atoll from Okinawa during Operation Red Hat in 1971. In 1972, the Air Force moved Agent Orange stocks to Johnston Atoll [these stocks were destroyed in 1977]. In November 1990, chemical weapon stocks from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were transferred to Johnston Atoll for destruction in Operation Steel Box. In 1991, range-recovered chemical munitions were brought from the Solomon Islands. Before destruction operations began in 1990, JACADS stored approximately 6.6% of the total US stockpile.
In 1981, the Army began planning for the Johnston Atoll Chemical Agent Disposal System (JACADS). Construction began in 1986. It is the world’s first full-scale facility built to destroy chemical weapons. The design is based on technologies used for years by the Army and industry. Following completion of construction and facility characterization, JACADS began operational verification testing (OVT) in June 1990. From 1990 until 1993, the Army conducted four planned periods of Operational Verification Testing (OVT), required by Public Law 100-456. OVT was completed in March 1993, having demonstrated that the reverse assembly incineration technology was safe and that JACADS operations met all environmental parameters. The OVT process enabled the Army to gain critical insight into the factors that establish a safe and effective rate of destruction for all munition and agent types. Only after this critical testing period did the Army proceed with full-scale disposal operations at JACADS. Transition to full-scale operations started in May 1993. The facility actually did not begin full-scale operations until August 1993.
Approaching hurricanes in both 1993 and 1994 necessitated facility shutdown and the evacuation of more than 1,100 soldiers, Department of the Army civilians, and Army contractors from Johnston Island to Hawaii. During each of these instances, JACADS production was disrupted for a period of time. As a result of the hurricane striking Johnston Island in August 1994, JACADS production was disrupted for approximately 70 days. This time was required to repair damaged installation infrastructure needed to sustain the presence of the work force and to provide power and water supply critical to JACADS processing.
On 31 January 2000, the Ocean going tug “Sea Valiant” pulling a barge (the “Malalo”) entered the waters of Johnston Atoll and docked at Johnston Island. After a short period of unloading construction materials, the crew of the tug began to load into the hold of the barge, projectile casings and One-Ton Containers from the main pier area. The operation, once started, ran continuously 24-hours a day, loading round after round onto the vessel, for the better part of the next 6 days, loading these former chemical warfare agent munitions and containers. The tug and barge departed fully loaded with over 400 tons (800, 000 pounds) of metal bound for Japan on 6 February 2000. This was part of the final disposal operation to get the remains of what once was chemical munitions off the island. These metal hulls of what were once chemical munitions (or containers that stored chemical agent in the case of the One-Ton Containers), had all been processed through the Johnston Atoll Chemical Agent Disposal System (JACADS) facility and demilitarized to 5X level in the previous HD and GB campaigns. As a twist on the “Spear Points to Plow Point” saying, which could be modified in this case to say “from Chemical Munitions to Driving a Chemical Projectile” this scrap metal has been sold to Japan to be melted down and reformed to in all probability will become automobiles.
On 7 March 2000, the Chemical Ammunition Company (CAC) shipped the last VX filled M121A1 155 millimeter projectile from the “Red Hat” storage area to the Johnston Atoll Chemical Agent Disposal System (JACADS) facility. Which completed the shipment of all 42,682 projectile in 43 Load and Transport (L&T), missions over a 85 day period that started with the first L&T that was conducted on 17 December 1999. On 10 March 2000, The JACADS plant processed and thermally decontaminated the last 155-mm projectile casings through its Metal Parts Furnace (MPF). This event brought an end to the 155 VX Stockpile Campaign. JACADS beat their projected baseline completion schedule date of 27 March, by 17 days (which this time equals or translates into over $6,000,000 in plant operational cost saved). Of the 42,682 projectiles, four that could not be processed due to mechanical processing problem with these rounds themselves, will be cut open and destroyed during a later campaign reserved for processing rejects like these.
The JACADS facility then began retooling its equipment and conducting changeover operations to proceed with the next munition campaign which will be the M426 8-inch VX filled projectiles. This retooling changeover was expected to take place through April 2000, followed by pre-operational checks of the operating system with inert training projectiles to validate the process, prior to the 8-inch campaign itself, beginning to process the stockpile projectiles in May 2000. The only two VX munitions types and bulk VX stored in One-Ton Containers remain on island are:
Agent Type Munition / Container Type Number Pounds of Agent
VX-Nerve M426 8-inch Projectiles 14,519 210,520
VX-Nerve One-Ton Containers 66 97,360
VX-Nerve M23 Land Mines 13,302 139,680
These items were destroyed in the order as they are indicated above.
JACADS has already disposed of all of its stockpiled M55 nerve agent rockets, one-ton containers filled with mustard and GB nerve agent, one class of mustard-filled projectiles and nerve agent bombs. All rockets, projectiles, bombs and ton containers filled with GB have been safely destroyed at JACADS. This amounted to the disposal of approximately 74 percent of all chemical agent and munitions stored on the island. As of 08 October 2000 JACADS had destroyed 1,979 tons of an original 2,031 tons, with 52 tons remaining. When all of the munitions are destroyed, the facility will be dismantled. By 2003, the Army expects to depart the atoll. Once this occurs, the Air Force expects to return the atoll to the USF&WS to continue its national wildlife refuge operations.
Original stockpile consisted of the following:
AGENT ITEM QUANTITY POUNDS
HD-Blister 155mm Projectiles 5,670 66,339.0
HD-Blister 105mm Projectiles 46 136.6
HD-Blister M60 Projectiles 45,108 133,970.7
HD-Blister 4.2 Mortars 43,600 261,600.0
HD-Blister Ton Containers 68 116,294.0
GB-Nerve M55 Rockets 58,353 624,377.1
GB-Nerve 155mm Projectiles 107,197 696,780.5
GB-Nerve 105mm Projectiles 49,360 80,456.8
GB-Nerve 8″ Projectiles 13,020 188,790.0
GB-Nerve MC-1 Bombs 3,047 670,340.0
GB-Nerve MK 94 Bombs 2,570 277,560.0
GB-Nerve Ton Containers 66 101,158.0
VX-Nerve M55 Rockets 13,889 141,769.8
VX-Nerve 155mm Projectiles 42,682 256,092.0
VX-Nerve 8″ Projectiles 14,519 210,525.5
VX-Nerve Land Mines 13,302 139,671.0
VX-Nerve Ton Containers 66 97,360.0
하와이의 미군 상황
DMZ-하와이 / 아로하 아이나와 AFSC 하와이
2005. 8. 24 번역 : 양성진
1. 하와이의 미군 군사화의 뿌리: 침략과 점령
∙하와이의 미군 상황
하와이의 미군 상황∙
19세기에 하와이는 모든 태평양 횡단 무역의 연료와 식량 재충전을 위한 필수적인 곳이었다. 이러한 상황은 막 눈을 뜨기 시작한 미국 제국주의자들에게 매우 탐나는 곳이었다. 당시 하와이의 선주민들인 카나카 마오리(Kanaka Maoli)는 미국, 영국, 프랑스를 포함한 다른 국가들로부터 인정받았고 또한 이들과 조약을 맺은 입헌군주국가를 수립한 상태였다.
1873년에 미군 간첩들은 진주만으로 알려진 와이모미(Waimomi)를 ‘중앙 태평양으로의 열쇠(key to the central Pacific Ocean)’로 꼽았다. 1886년에 하오레(Haole. 백인계열 외국인 엘리트) 사업가 대표들과 선교사들의 후손들이 카라카우아(Kalakaua)왕에게 압력을 가해 하와이산 설탕에 대한 관세를 깎는 대신 미국에게 진주만에 대한 독점권을 부여해 주는 새로운 호혜조약에 서명하도록 했다. 하와이 국민들이 진주만의 양도에 대해 항의하자 하와이 내의 하오레 엘리트들은 쿠테타를 일으켜 강제로 ‘바요네트 헌법(Bayonet Constitution)’을 제정하였는데 이는 군주제를 국가 원수로 약화시켰고 비(非)백인 인구 대부분의 권리를 빼앗았다.
카라카우아의 후계자, 리릴우오카라니(Lili’uokalani) 여왕이 하와이의 전 헌법을 회복시키려하자 하오레 쿠테타 지도자들은 여왕을 내쫓기 위해서 1893년 1월 17일에 미군을 상륙시키고자 미국의 스티븐스(Stevens)장관과 공모하기도 하였다.
미국으로의 합병을 위한 두 차례의 조약을 성공적으로 막아낸 하와이 국민들의 저항에도 불구하고 스페인-미국간 전쟁의 발발은 하와이에 대한 미국의 군사적 대규모 점령을 유발시켰다. 1898년 7월 6일에 의회는 하와이를 합병시키는 간단한 공동결의를 통과시켜 하룻밤 사이에 하와이는 거대한 미군의 태평양 축으로 아시아를 향한 제국주의적 발판이 되었다.
1900년, 진주만에는 해군기지가 건설되기 시작했는데 이는 36개의 전통적 양어지를 파괴시켜 오아후(O’ahu)의 풍부한 식량원이었던 곳을 거대한 해군기지로 둔갑시켰다. 여기에 이어 셰프터 주둔지(Fort Shafter), 루거 주둔지(Fort Ruger), 암스트롱 주둔지(Fort Armstrong), 데루씨 주둔지(Fort DeRussy), 카메하메하 주둔지(Fort Kamehameha), 위버 주둔지(Fort Weaver)와 쇼필드 병영(Schofield Barracks)가 세워졌다. 매콤 장군(General Macomb)은 “오아후는 철로 둘러싸여질 것이다”라고 말했다. 1898년에서 1941년까지 하와이에서는 하오레 과두정치에 의해 정부와 경제, 그리고 하와이에 살고 있는 비백인 카나카 마오리의 대다수와 아시아계 정착민들을 지배하는데 필요한 병력을 제공하는 군사적 점령이 통제되었다.
2. 2차 세계대전과 냉전
1941년 12월 7일에 발생한 하와이에 있던 미 군사시설들에 대한 일본의 기습공격은 미군이 하와이에 계엄령을 내리기 위해 오래도록 기다려왔던 정당성과 기회를 제공해주었다. 일본과 연결되었다고 의심받은 일본인 공동체의 지도자들은 체포되어 구치소에 있다가 미국의 강제수용소로 보내졌다. 또한 대통령령으로 많은 땅들이 몰수되어 1944년 군용지가 7억3천4백만평 (600,000에이커)까지 팽창했다.
종전 후 냉전시대로의 변화는 하와이를 미국 대륙에 대한 방어기지에서 태평양 너머 미국의 세력을 넓히기 위한 축으로 변화시켰다.
미국의 가장 오래된 통합사령부인 태평양지구사령부(PACOM)는 1947년 1월 1일에 하와이에 설치되었다. PACOM하에 있는 지역은 지구의 50% 이상으로 43개국, 20개의 속령과 보호령, 10여개의 미국 속령들과 세계의 6대 군대와 미국이 맺고 있는 7개의 상호방위조약 중 5개가 속해있다. PACOM하에는 300,000명의 군사가 있으며(미군의 현역군중 1/5) 서태평양의 전진 배치된 100,000명의 군사도 포함되어있다. 카나카 마오리 운동가인 카레이코아 카에오(Kaleikoa Kaeo)의 말에 의하면 하와이에 주둔하고 있는 미군은 히(he’e – 문어) 괴물이다. 머리는 PACOM, 눈은 산 위에 있는 망원경들과 레이더 시설들, 뇌와 신경계는 슈퍼컴퓨터들과 섬을 종횡하는 광케이블로 상징되고 있다. 히의 촉수들은 북미의 서쪽해안에서부터 아프리카의 동쪽 해안, 알라스카에서 남극까지 이른다.
3. 오늘날 하와이 내의 미군
하와이는 심하게 군사화 되어있다.
- 미 국방부에 의하면 2004년 당시 하와이에는 총 161개의 군사기지가 있다(4개의 대규모 군사기지, 4개의 중간규모 군사기지, 153개의 소규모 군사기지).
- 하와이의 땅 중 군대가 2억9천만평(236,303에이커), 총 면적의 5.7%를 관할하고 있다.
- 가장 인구밀도가 높은 섬인 오아후의 경우, 군대가 4억6천8백만평(382,148에이커)의 땅 중 1억4백만평(85,718에이커), 22.4%의 땅을 관할하고 있다.
- 또한 군대가 상당한 규모의 바다와 진주만에서 코코헤드(Koko Head)에 이르는 케인오헤(Kane’ohe)만과 카우아이(Kaua’i)의 서쪽 해안가의 방어 해상 지역(Defensive Sea Areas)도 관할한다. 전 하와이군도는 1억6천4백만평(54,388,733.8핵타)의 해양 군사 작전지역과 4천6백만평(15,176,787.7헥타)의 군사 작전공역으로 둘러싸여있다.
- 하와이 주정부에 의하면 2003년 하와이에는 44,458명의 현역군인과 56,572명의 부양가족들이 살았고 이들의 총합은 하와이 총인구의 8%에 해당된다. 하와이에 살고 있는 116,000명의 퇴역군인들까지 포함하면 군 관련 인구는 총 217,030명으로서 하와이 총 인구의 17%에 해당한다. 2000년 미국 인구조사에 의하면 하와이가 미국에서 군대 관계자의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주요 문제들
1) 토지수용
하와이에서 일어나는 분쟁의 주요 문제는 군사적 목적의 토지수용이다. 1898년에 미국은 전 정부와 하와이 왕국의 왕실 소유지 중 거의 22억3백만평(1,800,000에이커)의 땅을 몰수했다. 이들 이른바 “양도지”(ceded lands)는 연방정부와 주에 의해 반신탁의 상태가 되었다. 1959년 미국이 하와이를 주로서 인정했을 때 군은 2억2천만평(180,000에이커)정도의 “양도지”를 계속 존속시켰고 나머지 땅은 정부에 신탁되어졌다. 정부로 돌려진 땅 중 3천6백만평(30,000에이커)은 동시에 군에게 65년간 임대되었다. 대부분의 경우 군은 임대의 조건으로 1달러를 지불하였다. 현재 하와이의 군 점령지의 54%인 1억3천7백만평(112,173에이커)은 하와이 국가의 전 정부 땅과 왕실 소유지였다. 2차 세계대전 기간 동안에 여러 개인 소유지들도 미국의 전쟁 목표를 넓히기 위해 몰수되었다.
2) 하와이 선주민 문화에 대한 위협
카나카 마오리들을 그들이 대대로 살아오던 땅에서 쫓아낸 것은 그들의 생존과 문화적 자원을 잃게 한 것과 같다. 아이나(aina – 땅의 하와이어)에 대한 문화적인 분쟁은 단순한 소유권이나 토지 이용보다 훨씬 깊은 의미를 갖고 있다. 자연환경에 대한 카나카 마오리와 서구 사회의 시각에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카나카 마오리의 우주관에 의하면 아이나는 지구 어머니인 파파하나아우모쿠(Papahanaumoku – 섬들에게 생명을 주는 Papa)여신과 하늘 아버지인 와케아(Wakea)신의 연합을 상징한다. 그러므로 아이나는 카나카 마오리인들의 조상이기 때문에 이를 소유하거나 팔거나 모독할 수 없다. 카나카 마오리와 아이나 사이의 계통적 연결들을 끊고 그들의 문화를 행하고 이를 미래 세대들에게 전수할 능력을 방해하는 군의 토지몰수는 카나카 마오리들의 문화적 생존에 지속적으로 큰 충격을 주고 있다. 군에 의해 행해지는 토지의 파괴는 사람들에 대한 폭력의 일종이다.
카나카 마오리에 대한 강제적 문화 동화는 문화적 붕괴로 이어진다. 통계자료들은 미국의 점령이 가져온 결과들을 보여준다. 카나카 마오리들이 가장 높은 비율의 노숙자, 가난, 질병과 범죄율을 기록하고 있다. 이들은 가장 낮은 교육률과 기대수명을 기록하기도 한다. 카나카 마오리들이 중범죄로 투옥된 범죄자들의 1/3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미국의 점령이 시작 된지 1세기 동안 새로운 정착민들의 홍수는 카나카 마오리들의 자결권을 잃게 만들었는데 이는 타 국가의 점령을 받는 티벳, 동 티모르, 팔레스타인과 같은 국가들에서 나타나는 인구위기와 비슷하다. 경제, 문화, 정치적인 복합적 압박은 카나카 마오리들의 1/3정도를 디아스포라로 몰아넣었다.
군은 하와이에 미국인들을 이주시킴으로서 하와이의 문화와 정치적 인구분포에 큰 충격을 가져다주었다. 1900년과 1950년 사이에 미국대륙과 속령들에서 하와이로 이주한 인구는 총 293,379명이었다. 현재 17%를 차지하고 있는 부양가족과 퇴역군인들을 포함한 군 관련 인구는 이제 총 인구의 19%를 차지하는 카나카 마오리의 숫자인 239,655명과 거의 같아졌다.
3) 환경오염
하와이 내의 가장 큰 산업 오염자는 거의 확실하게 미군이다. 2004년 국방환경재구축 프로그램(Defense Environmental Restoration Program)의 미 의회 보고서에는 108개의 군사시설내에 798개 군 오염지역을 공시하고 있고 이중 96개 지역은 불발탄들로 오염되어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7개 군 오염지역들은 “슈퍼펀드”(Superfund – 공해방지사업을 위한 대형 자금)를 위한 지역으로 고려되어졌다. 해군에 의하면 진주만 해군단지 안에 대략 749개의 오염지역이 있다. 이 숫자들은 실제보다 낮은데 그 이유는 정화책임이 있지 않은 오염지역들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납, 다이옥신 수은, PAC를 포함하는 PBT를 유출시키는 하와이의 10대 오염원 중 5개가 군사시설들이다.
군사 오염 위협에는 불발탄, 각종 유류, 펄클로로에씰린과 트리클로로에씰린을 포함한 유기용매와 같은 석유제품들, 다이옥신과 PCB, RDX, TNT, HMS, 페르클로레이트와 같은 폭발물과 화약, 납과 수은 같은 중금속들, 네이팜, 화학무기와 원자력 군함에서 나오는 방사성 폐기물이 있다. 원자력 군함에서 나오는 코발트 60이라는 방사성 폐기물이 진주만의 침전물에서 발견되었다. 1964년과 1978년 사이에 1천8백만 리터(4,842,000갤런)의 낮은 방사성 폐기물이 진주만으로 유출되었다. 하와이로부터 55마일 떨어져 있는 해상 처리 장소에 방사성 폐기물을 담은 2,189개의 드럼통이 버려졌다.
군사 오염 지역들은 카나카 마오리들과 아시아 및 태평양 이주자들 및 저소득층이 사는 지역에 집중되어있고 그들에게 큰 위협을 주고 있다. 이는 ‘환경 인종차별’이라고 불린다. 많은 아시아계 사람들과 태평양의 섬사람들은 오염된 진주만에서 나오는 생선과 조개류를 주식으로 삼고 있다. 와이아나이(Wai’anae)지역은 1/3이 군사시설로 점령되어 있고 카나카 마오리들이 가장 많이 모여 있으며 하와이에서 가장 낮은 보건, 경제 사회적 수치를 보여주고 있다. 1980년대 후반에는 라우라우라이(Laulaulei) 계곡에 있는 강한 라디오 송신기가 근처 하와이 거주지의 아이들에게 나타나는 백혈병의 원인으로 의심되어졌다.
4) 토속생태계와 위기생물들의 파괴
하와이는 세계 위기생물들의 수도로 간주되어진다. 지리적인 고립으로 인해 독특한 생물들과 생태계가 하와이에 발전했다. 1,100여종의 토속생물들이 있으며 이중 82%는 하와이에서만 발견된다. 비숍 박물관(Bishop Museum)의 위기생물목록에는 2종의 포유류, 32종의 새, 5종의 파충류, 1속의 달팽이들과 289종의 식물들을 포한한다. 이에 더해서 박물관에서는 24종의 새들과, 72종의 달팽이들과, 74종의 곤충들과 97종의 식물들이 멸종되었다고 기록했다.
군사훈련은 화재, 부식, 서식지의 변형과 비토속종 생물의 유입을 유발함으로서 토속생태계를 위협한다. 예를 들어 마쿠아(Makua) 계곡은 40종의 위기생물들의 서식지이면서 군사 사격장이다. 지난 10년간에 발생한 270건의 군에 의한 화재는 가장 높은 능선들을 제외한 숲을 파괴했다.
5) 폭력과 범죄
아직까지는 아무도 하와이에서 발생하는 군 관련 범죄 및 폭력에 대한 믿을만한 통계를 집계하지는 않았다. 이는 정치적, 법인, 그리고 군사적 시설들이 군을 나쁘게 비추는 것에 대해 꺼려하는 사실과 어느 정도 관련되어 있다. 다음의 사례들처럼 군인들이 관련된 비극적인 폭력사건들이 많이 존재한다.
- 올해 한 육군 부사관이 10대의 의붓딸을 때려서 사망하게 한 죄로 고소됨
- 2002년 6월, 진주만의 한 수병이 금지명령을 어기고 자신의 부인을 처참하게 프라이팬으로 때려서 죽이고 장모를 찔러 죽였다.
- 1997년에 쇼필드 병영에서 한 병사는 트랜스젠더 매춘부를 살인한 죄로 종신형을 선고받았다.
6) 성매매
다른 군부대 지역들과 마찬가지로 하와이의 성매매는 군의 주둔으로 인해 부추겨진다. 2차 세계대전 당시 군은 지정된 홍등가 지역에 성매매를 규정시켰다. 최근 몇 년 동안에 성매매는 불법적으로 분산화 되었다. 스트립 클럽, 안마 시술소, 에스코트 서비스, 호스트 바, 길거리 성매매의 급격한 증가는 군인과 관광객, 지역 손님들을 상대로 이루어진다. 어는 전직 매춘여성은 도심지에서 매춘여성을 찾는 사람들의 최소 60%가 군인들이며 쇼필드 병영 가까이에 있는 와히아화(Wahiawa)에서는 70~80%까지 이른다고 말했다. 그녀는 한 군인이 어떻게 자신의 목을 졸랐고 자신이 그를 때리고 도망갔는지를 회상하며 말했다. 매춘여성들이 상업적 성매매 착취(CSE)로부터 벗어나도록 돕는 한 기관에 의하면 거대한 관광업과 군대의 주둔으로 인해 특히 하와이가 CSE와 여성과 아동의 인신매매에 빠지기 쉽다고 한다.
7) 청소년의 군사화
군사 징병관들은 저소득 유색인종사회를 목표로 잡았다. 하와이 선주민, 필리핀인, 태평양 섬 주민들은 징병관들이 제시하는 경제적인 유혹에 취약하다.
군사 징병관들은 군사 징병관 접근 법령과 낙제학생방지법령(No Child Left Behind)의 학생 개인정보 공개를 통해서 전례 없는 학생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갖고 있다. 또한 최근에 학생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해서 개인 정보 수집 회사들을 고용할 계획을 발표했다. 하와이에서는 예비역 장교 훈련단(ROTC) 프로그램을 통한 청소년의 징병, 대중문화 속에 등장하는 군대 이미지의 증가와 과감한 징병 등을 전략적으로 사용해해 지역 주민의 동화 및 미국화를 가속시켰다.
8) 경제적 의존도
2001년 9월 11일 이래로 하와이 내에서 미군의 소비가 증가했다. 2003년에는 군 지출이 관광산업 다음으로 하와이내 큰 두 번째 ‘산업’으로서 45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이는 2002년에 비해 13%의 상승을 보여주고 있다. 2003년 하와이는 1인당 방위비가 $2,566을 기록하면서 미국에서 국방부인 펜타콘이 위치한 버지니아 주 다음으로 가장 높았다. 미 연방정부의 하와이에 대한 지출은 건설과 같은 산업을 촉진시켰는데 이는 문화유적과 자연자원들의 보존에 유해한 것이다. 군의 팽창은 또한 집값의 상승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군인들을 위한 주택 수당은 시장가치에 기초하고 있는데 이는 전반적인 집값을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난다. 하와이의 군인들은 주정부에 소득세를 내지 않는다. 그래서 공공 서비스의 비용은 지역 주민들에게 부과된다. 이는 주에서 나오는 기금에 의지하는 공립학교에 문제를 안겨준다. 연방 충격 보상(Federal Impact Aid)이 군 가족들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들의 비용을 감당하게 되어있는데 여기서 지원되는 돈은 실제 군 자녀들의 교육에 드는 비용의 1/10밖에 안 된다.
5. 하와이에서 발생한 미군의 학대에 대한 저항
1) 카호올라위(Kaho’olawe)
카호올라위는 약 3천5백만평(28,800에이커)의 면적으로 하와이 군도 8개 섬 중 가장 작다. 이 섬은 카나카 마오리에게는 바다의 신 카나로아(Kanaloa)가 있어 신성한 곳이다. 카호올라위는 폴리네시아 항해의 기준점이었고 하와이의 정착지였다. 하와이의 가장 풍요로운 문화유적 중 몇 곳이 카호올라위에 있다. 하와이 왕국의 땅이었던 이 섬 전체를 미 해군이 1941년 12월 8일 사격연습을 위해 몰수하였다. 1976년 Protect Kaho’olawe ‘Ohana가 처음으로 몇 차례 카호올라위에 상륙해서 폭격에 대해 시위했다. 수년간의 직접적인 행동들과 시위, 소송들을 통해 1990년에 폭격을 중단했다. 불발탄 제거와 문화유적 및 토속생태계의 복원을 위해 4억달러가 통과되었지만 해군은 자신들이 명시한 목표를 다 채우지 못했다. 현재는 섬의 1/10만이 사람이 사용하기에 안전하다.
2) 마쿠아(Makua)계곡
마쿠아 계곡은 오아후의 서쪽에 있다. ‘마쿠아’는 ‘부모’를 뜻한다. 이곳은 파파와 와케아가 지구상에 생명을 창조하기 위해 내려온 곳 중 하나로 전해지고 있다. 마쿠아는 1929년부터 군사훈련장으로 사용되었다. 1942년 마쿠아의 남아있던 거주민들은 군에 의해 강제로 추방되었다. 그들의 집들과 교회는 표적물로 사용되었다. 모든 종류의 탄이 마쿠아에서 사용되었고 버려졌다. 그 결과 이 계곡은 불발탄으로 가득하다. 풍부한 문화유적들과 숲은 파괴되거나 심하게 회손되었다. 1970년대부터 카나카 마오리들은 마쿠아 계곡의 정화 및 반환을 위해 싸워왔다. 이 저항은 육군이 계속 마쿠아에서의 훈련을 늘려가려는 가운데 오늘도 계속되고 있다.
3) 할라와(Hallawa) Valley / H-3 고속도로
H-3 고속도로 프로젝트는 1963년에 카네오헤(Kane’ohe)의 해병대와 진주만을 이어주는 방어용 고속도로로 계획되었다. 운동가들이 문화 및 역사 보호법을 성공적으로 사용해서 고속도로가 모아나루아(Moanalua)계곡을 지나가는 것을 막았지만 대신 할라와(Halawa)계곡을 지나는 것으로 수정되었다. 초기 새로운 계획에 대한 성공적인 저지에도 불구하고 운동가들은 다니엘 이노우예(Daniel Inouye) 상원의원이 H-3 프로젝트가 환경법의 규제를 받지 않는 법을 통과시킴으로서 힘을 잃었다. 카나카 마오리 여성들이 이끈 할라와 연합은 고속도로의 길목에 있는 할레오파파(Hale-o-Papa)라는 여성들의 신전을 점거해서 1992년 4월부터 투쟁했지만 8월에 체포되었다. 할레오파파는 구했지만 다른 성지들은 파괴되었다. 저항이 37년째 되던 해에 H-3은 13억달러(마일당 8천만달러)의 비용으로 지어진 가장 비싼 도로가 되었다.
4) 노힐리(Nohili) / 태평양 미사일 사격장 시설(Pacific Missile Range Facility)
1990년대 초반에 토속 하와이인들과 환경단체들이 태평양 미사일 사격장 시설에서 육군 전술 표적 시스템(Army Strategic Target System – STARS) 미사일의 발사를 막았다. 문제가 되는 것은 노힐리의 모래언덕에 위치한 카나카 마오리의 매장 지역들과 위기의 생물들, 미사일로 인한 오염 및 사고였다. 35명의 시위자들이 처음 두 차례의 미사일 발사 도중에 시민적 저항으로 체포되었다. STARS 프로그램은 클린턴 대통령에 의해 1996년 예산이 정지되었지만 PMFR의 능력이 늘어나고 후에 조지 부시(Geroge W. Bush)에 의해 가속화된 미사일 방어 프로그램으로 인해 새로운 위협들이 등장하고 있다. 9.11 이후 경계의 수위가 높아져서 노힐리 해안가에 어떠한 이유로도 들어갈 수 없게 하였는데 이는 행동주의자들을 새롭게 부추겼다.
5) 와이카네(Waikane) 계곡
오아후의 바람이 불어오는 쪽에 있는 와이카네는 전승과 성소들과 전통적 농업생산에 있어 풍요롭다. 2차 세계대전 당시 인접해있는 와이아홀레(Wai’ahole)와 와이카네 땅 2백만평(1,601에이커)을 이동사격훈련용으로 1976년까지 임대하였다. 가장 타격을 많은 카마카(Kamaka)가족은 해병에게 자신들의 땅 22만평(187에이커)을 오염시킨 불발탄들을 임대계약조건대로 제거해달라고 요청했다. 그러나 오히려 해병대는 카마카 가족들의 요청을 비난하였다. 2003년에 해병대는 남 필리핀 테러에 대비한 훈련의 일환으로서 와이카네에서 정글전투훈련을 하겠다고 발표했다. 이 발표는 지역사회에서 거센 항의를 불러일으켰다. 2003년 3월 공청회에서 지역사회는 해병대가 정화한 후 카마카 가족에게 와이카네의 땅을 돌려줄 것을 요구했다. 또 하나의 중요한 발전은 하와이에 거주하는 필리핀 운동가들의 결속이었다. 이들은 필리핀에 대한 미국의 간섭 및 와아카네에서의 훈련에 저항했다. 해병대는 결국 안전적인 문제를 들어가며 와이카네에서의 훈련을 취소했지만 불발탄들을 제거하지는 않았다.
6) 포하쿨로아(Pohakuloha)
하와이 섬에 있는 포하쿨로아는 용암지대의 넓은 들판과 마우나 케아(Mauna Kea), 마우나 로아(Mauna Loa)와 후아라라이(Hualalai)산 사이에 있는 숲이다. 군은 1956년에 포하쿠로아 훈련장(PTA. Pohakuloa Training Area)을 세웠다. 1억4천만평(116,341에이커) 규모의 포하쿨로아 토지 중 1억3백만평(84,815에이커)은 왕실 영토이다. PTA는 하와이에서 가장 큰 미군 훈련장이고 미국 본토 밖에서도 가장 크다. 이 PTA 훈련장에서는 각종 사격훈련이 이루어지는데 이곳에는 수 천 개의 문화유적지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21종의 위기 식물과 동물들의 서식지이기도 하다. 훈련지역을 2천8백만평 더 늘리겠다는 육군의 제안은 포하쿠로아를 다시 한 번 저항의 중심으로 불러들였다.
6. 군사적 팽창 위협
1) 스트라이커 여단(Stryker Brigade)
육군은 스트라이커여단(SBCT. Stryker Brigade Combat Team)을 하와이에 주둔시키려는 계획을 추진 중에 있다. 이는 291여대의 스트라이커 장갑차와 800여명의 군사 및 그들의 부양가족과 훈련 및 유지를 위한 건물 및 주거지역을 향상시키기 위한 28개의 건설 프로젝트도 함께 가져오게 된다. 한 기자는 이를 “2차 세계대전 이래 하와이에서의 가장 큰 군사 건설 프로젝트”라고 불렀다.
스트라이커는 20톤짜리 경량 장갑차들로서 신속한 투입과 시가전을 위해 설계되었다. 이들은 여단의 운송을 위한 새로운 C-17 수송대대와 신형 쾌속 공격함과 함께 주둔하게 된다.
육군은 3천만평(25,000에이커)의 땅을 추가로 몰수하려고 한다. 스트라이커의 충격은 오아후의 북쪽 해안가 전부와 하와이 본섬에까지 미칠 것이다. 스트라이커의 지나간 흔적은 마누아 케아의 서쪽에 있는 카와이해(Kawaihae)항으로부터 포하쿠로아 훈련장까지 이어질 것이다. 실탄훈련으로부터 나오는 수많은 유해 화학물의 발견에도 불구하고 계획된 탄약은 25%나 증가하게 된다. 군대는 문화유적지는 파괴될 것이고, 위험은 커지고, 토양은 침식되며, 환경피해가 발생한다는 보고가 기록되었다.
2) 해군대학 산하 연구 센터(Navy University Affiliated Research Center – UARC)
하와이 대학(UH)은 해군대학 산하 연구 센터(UARC)를 세우고 싶어 한다. 계획된 해군의 UARC는 해군의 무기관련 연구와 “스타워즈” 미사일 방어 프로그램과 관련된 각종 개발 및 실험과 다른 군사적 연구 프로그램들을 관리하게 된다. 이는 천체과학과 천체물리학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마우나 케아와 하레아카라 및 미사일 발사와 해저 무기 및 소나 실험이 이루어지고 있는 노히리 모래언덕과 주변 바다에 해로운 영향을 줄 것이다.
학생들과 분과대학, 지역사회의 연합으로 UARC에 대항해서 데모를 수차례 시행했고 이는 하와이 대학 총장실을 1주일간 점거함으로서 그 정점에 이르렀다. UARC에 대한 저항은 계속된다. 이들 투쟁이 UARC를 중심에서 지지했던 하와이 대학 마노아 리전트 엥레르트(Manoa Regent Englert)를 해고하는데 기여했을지도 모른다.
3) “스타워즈”(Star Wars) 미사일 방어
하와이는 여러 미사일 방어 프로그램을 위해 사용되는데 GMD(Groundbased Midcourse Defense), AMD(Aegis Missile Defense), THAAD(Theater High Altitude Area Defense) 프로그램들이 있다. 미 정부는 북한을 “악의 축”으로 악마화하여 하와이에 위협이 된다며 이를 미사일 방어 프로그램들을 늘려나가는데 필요한 정당성으로 이용하고 있다.
“스타워즈”의 시설은 섬들을 모두 엮고 있다. 노히리에 있는 태평양 미사일 발사 시설(Pacific Missile Range Facility), 코케에(Koke’e), 마카하 능선과 카에나에 있는 레이더 추적 기지, 하레아카라 산에 있는 공군 광 추적 기지와 키헤이(Kihei) 마우이에 있는 슈퍼 컴퓨터. 하레아카라에서는 레이저가 실험된다. 카우아이에서 마샬 군도에 있는 쿠아자레인(Kwajalein), 코디악(Kodiak), 알라스카(Alaska) 또는 해군 함정들로 표적 미사일들이 발사된다.
4) 항공모함전투단(Aircraft Carrier Strike Group)
하와이가 직면하고 있는 가장 큰 군사적 위협은 하와이나 괌에 항공모함의 모항을 두겠다는 제안이다. 하나의 항공모함전투단은 원자력 항공모함, 크루저, 구축함 2척, 공격 잠수함, 쾌속 전투지원함과 74대의 전투기를 포함한다. 이 외에 항공모함에 속한 3000명의 장교와 선원들과 비행단에 속한 2600명이 추가된다. 전체적으로 항공모함전투단은 20,000명의 군인과 부양가족들을 끌고 오게 된다.
진주만은 항공모함의 모항으로 사용하기에는 충분히 크지 않아서 거대한 규모의 증설이 요구된다. 이는 환경에 커다란 영향을 주게 될 것이다.
정치가들은 문 닫은 바버스 포인트(Barber’s Point) 해군 비행기지를 항공모함의 전투기들을 위해서 다시 군용으로 돌려 줄 것을 제안했다. 최종 결정은 4년마다 있는 국방 검토(Quadrennial Defense Review)에서 이루어지는데 2005년 안에 결정될 것이다.
7. 미국의 군사적 위협에 대한 현재의 저항
- DMZ-하와이/아로아 아이나(Aloha ‘Aina)
DMZ-하와이/아로아 아이나는 하와이를 비무장화 시키고 하와이에 거대한 군대의 주둔이 가져다주는 악영향들을 알리는 기관들과 개인들의 네트워크다. DMZ-하와이/아로아 아이나는 2000년에 AFSC의 주최로 열린 ‘다시 생각해보는 군사주의 컨퍼런스(Rethinking Militarism Conference)’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는데 이때 군사적 영향들에 대해 대항해온 하와이의 운동가들과 각종 단체들이 모이게 되었고 또한 필리핀과 푸에르토리코에서 저항하는 사람들과 운동가들을 만나게 되었다. 2002년에 이 비공식적인 네트워크의 핵심 운동가들이 모여서 하와이에 대한 군사팽창의 위협에 대해서 의논하였고 DMZ-하와이/아로아 아이나를 결성하였다. ‘DMZ’라는 단어가 사용된 이유는 이 네트워크의 목적과 가장 부합되는 단어였고 또한 보통의 군사적 ‘DMZ’의 의미를 바꾸었기 때문이다. ‘아로아 아이나’가 포함된 이유는 이것이 카나카 마오리의 ‘땅에 대한 사랑’을 공언해주고 하와이의 문화와 정치적인 저항을 다양한 그룹들의 모임의 중간에 놓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DMZ-하와이/아로아 아이나의 4가지 핵심 요구사항들은 다음과 같다
(1) 하와이에서의 군사적 팽창 금지
(2) 군사적으로 점령된 아이나(땅)에 대한 정화 및 반환
(3) 군에 의존하고 있는 경제를 대신할 안정적인 대안책 개발
(4) 하와이에 주둔한 군에 의한 피해들에 대한 정당한 보상을 제공
DMZ-하와이/아로아 아이나의 핵심 활동은 스트라이커 여단을 반대하고 해군 UARC가 하와이 대학에 설립 되는 것을 막고 마쿠아 계곡의 정화 및 반환을 지지하는 것이다.
스트라이커에 대한 대중의 인식과 저항이 증가했다. 이들의 활동들은 데모, 행진, 시민적 저항, 카나카 마오리의 전통적 저항, 법적 대응 등으로 나타난다. 3개의 카나카 마오리 그룹은 국가환경정책법의 환경영향 심사 조건들을 충족시키지 못한 것에 대해 육군을 고소하였다. 연방 판사는 고소인들에 불리하게 재결하였고 현재 항소중이다.
국제적인 결속도 하나의 열쇠다. 베트남, 필리핀, 괌, 오키나와, 마샬군도, 에쿠아도, 파나마, 한국, 일본과의 중요한 연결들이 만들어지고 있으며 군사주의에 대항한 동아시아-미국-푸에토리코 여성 네트워크, 우리의 땅은 우리의 삶(Our Land is Our Life), 태평양 비핵화 및 독립 운동(Nuclear Free and Independent Pacific movement), 미군기지 반대 네트워크(No US Bases Network)와 군 독극물 프로젝트(Military Toxics Project)와 같은 단체들과도 네트워크를 형성중이다.
8. 결론
- 군대의 하와이 주둔은 받아들일 수 없는 사회적, 문화적, 환경적 악영향과 결과들을 낳는다. 하와이의 미군사화에 대한 저항은 계속될 것이다. 그 이유는 하와이 주둔군에 의한 부정적 피해가 지속되기 때문이다. 미국은 하와이에서 불법적으로 점령한 땅들을 정화하고 반환해야 한다. 특히 인체의 건강과 환경에 위험한 지역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이는 평화적으로 국제법에 의거해서 하와이의 주권과 중립을 침해한 미국의 잘못을 고치는 과정의 일환이 되어야 한다.
- 하와이의 군사적 지배는 하와이의 역사적인 주권과 하와이 국민의 인권을 근본적으로 침해한 것이다. 우리는 NGO들과 개인들에게 여러분의 구성원들과 국가정부에게 미국이 하와이에 대해 계속적으로 국제법과 조약들을 어기고 있는 사실을 교육하길 바란다. 이는 미래에 문제를 교정하기 위한 외교적 발의권으로 이어질 수 있다.
- 하와이의 군사 주둔은 미국의 세계에 대한 제국주의적 전쟁과 간섭에 많은 기여를 한다. 미국의 중국에 대한 전술적인 경쟁과 북한에 대한 적개심과 동아시아의 미군 재배치는 하와이를 군사화하는데 더 많은 압력을 가하게 할 것이다. 비무장된 하와이는 세계의 평화에 여하게 될 것이다. 미국과 동맹관계인 국가의 NGO들과 개인들은 자신들의 정부에게 RIMPAC RIMPAC. Rim of the Pacific Exercise. 유사시 태평양상의 중요 해상 교통로의 안전을 확보하고 태평양 연안국 해군간의 연합작전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격년제로 실시하는 다국적 해군 연합기동훈련.
과 같은 하와이에서의 합동군사훈련에 참여하지 말 것을 촉구할 수 있다.
인터뷰(2005년 9월9일 국가인권위원회11층회의실)
kyle kajihiro (American Friends Service communitties)
이: 존스톤 환초의 화학무기폐기시설에 대해 말해달라
카: 존스톤환초는 칼라마섬으로 불리는데 화학무기뿐 아니라 플루토늄저장소도 있다. 플루토늄은 저장용기에 담겨지지도 않은 채 산에 매립한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고로 플루토늄은 감속주기가 5만년인데 50년만 지나면 토지는 심가하게 훼손될 것이다.
1960년대에는 발사오발로 플루토늄이 땅에서 폭발한 적도 있고 핵실험도 실시되었다.69년까지 핵실험이 실시되었다.
80년대 90년대에는 화학무기를 해체시키기로 결정해서 화학무기 해체작업이 진행되었는데 비무장하와이(DMZ하와이)등의 단체에서 반대했다. 샤린가스 머스타드 등을 기계자체를 소각하는 방법이다. 이는 화학무기를 완전분리시키지 못해 가스가 소량 배출되는 사고도 일어났다. 90년대에 유타주 켄터키주의 화학무기 어킹그룹이 소각에 대한 대안을 제시 했다. 중성화 시킨다든가하는 독성이 약한 방안을 제시했다.
또한 포스겐 3~4개가 하와이의 땅속에서 발견된 적이 있다. 이는 훈련중에 떨어진것으로 판단된다.
이: 발제 내용중에 원자력군함에서 코발트90이 진주만으로 유출되었다는
카: 78~79년경에 냉각기에서 버리지 말아야 할 물을 방출한 일이 있다. 핵선박에서 일한 노동자들의 옷과 바다에서 코발트 60이 발견된 것이다. 지금 하와이 해역 전체의 오염을 탐사하고 있다. 그동안 문제제기 됐던 것을 종합해서 실시하는 해군의 대규모 탐사이다. 그러나 관례상 그들은 위험한 수치가 나와도 수영금지, 낚시금지, 식수금지등의 푯말을 세워놓고 사람들이 들어가지 않으니까 괜챦다는 식으로 묵살할 것이다.
또하나의 사실은 예전에 하와이의 계곡등에 터널을 뚫어서 핵무기를 보관해 오다가 1988년쯤 이것들을 꺼내어 진주만으로 이동시킨적이 있다. 진주만에 벙커를 만들어 저장하였다. 그때 시가지를 통과해 이동할수 밖에 없었기에 활동가들과 시민들에 의해 사진에 찍힐수밖에 없었다.
이: 하와이에서의 열화우라늄탄 사고에 관해 아는바를 말해달라.
카: 89년경 하와이의 한배에서 청소중 실수로 열화우라늄탄 3발이 시가지를 향해 발사된 적이 있다. 시가지를 향해 발사됐기 때문에 어쩔수없이 군에서 공개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