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녀춘향수절가(烈女春香守節歌) 숙종대왕(肅宗大王) 즉위(卽位) 초에 성덕이 넓으시사 성자성손은 계계승승하사 금고옥적은 요순시절이요 의관문물은 우탕의 버금이라. 좌우보필(左右輔弼)은 주석지신이요 용양호위는 간성지장이라. 조정(朝廷)에 흐르는 덕화(德化) 향곡에 퍼졌으니 사해(四海) 굳은 기운이 원근에 어려있다. 충신은 만조하고 효자열녀 가가재라. 미재미재라 우순풍조하니 함포고복 백성들은 처처(處處)에 격양가라. 이때 전라도 남원부에…

심청가 심청전이라 상 (完板 乙巳本) 송나라 말년에 황주 도화동(桃花洞)에 한 사람이 있었으니, 성은 심(沈)이오 이름은 학규(鶴奎)라. 누대(屢代) 잠영지족(簪纓之族)으로 문명(文名)이 자자터니, 가운(家運)이 영체(零替)하여 이십 안에 안맹(眼盲)하니, 낙수청운(洛水靑雲)에 벼슬이 끊어지고, 금장자수(錦帳刺繡)에 공명(功名)이 비었으니 향곡(鄕谷)의 가난한 신세 가까운 친척 없고, 겸하여 안맹하니 뉘라서…

송강정철한시전집 金注秀 譯(주소: 부산시 동구 범일6동 1510-55번지) – 서문 – 나는 송강의 한글 작품에 매료되어 송강의 한시까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송강의 시조와 가사는 천년의 獨步라 할 수 있으리만큼 뛰어나다. 그런 그의 시적 재주와 흥취를 우리는 한글작품 뿐 아니라 한시 작품에서도…

萬福寺摴蒲記 2002/08/31 630 이생규장전 2002/08/31 514 취유부벽정기 2002/08/31 585 용궁부연록 2002/08/31 556 萬福寺摴蒲記 金時習(1435-1493) 南原有梁生者, 早喪父母, 未有妻室, 獨居萬福寺之東. 房外有梨花一株, 方春盛開, 如瓊樹銀堆, 生每月夜, 逡巡朗吟其下. 詩曰: 一樹梨花伴寂廖, 可憐辜負月明宵. 靑年獨臥孤窓畔, 何處玉人吹鳳簫. 翡翠孤飛不作雙, 鴛鴦失侶浴晴江. 誰家有約敲碁子, 夜卜燈花愁倚窓. 吟罷, 忽空中有聲曰: “君欲得好逑, 何憂不遂.” 生心憙之, 明日卽三月二十四日也. 州俗燃燈於萬福寺祈福, 士女騈集,…

南炎浮洲志 金時習 成化初, 慶州有朴生者, 以儒業自勉. 常補大學館, 不得登一試, 常怏怏有憾, 而意氣高邁, 見勢不屈, 人以爲驕俠. 然對人接話, 淳愿慤厚, 一鄕稱之. 生嘗疑浮屠巫覡鬼神之說, 猶豫未決, 旣而質之中庸, 參之易辭, 自負不疑. 而以淳厚, 故與浮屠交, 如韓之顚, 柳之巽者, 不過二三人. 浮屠亦以文士交, 如遠之宗雷, 遁之王謝, 爲莫逆友. 一日, 因浮屠, 問天堂地獄之說, 復疑云: “天地一陰陽耳. 那有天地之外, 更有天地? 必詖辭也.” 問之浮屠, 浮屠亦不能決答, 而以罪福響應之說答之, 生亦不能心服也….

* 이 글은 정규복, 진경환이 역주하고,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에서 1993년 8월 30일날에 내어놓은 [한국고전문학전집 27:구운몽] 중 [구운몽(완판 105장본)]의 모든 내용으로 직지프로젝트의 공식문서이다.* ** 이 글의 이름은 kum01.txt, kum01.html, kum01.hwp, 또는 kum01.zip이다.** *** 이 글은 강석구(stonenine@seinsystem.co.kr)님이 1999년 9월부터 10월까지 입력한 것을 직지지기(webmaster@jikji.org)가…

아! 이시대에 허무주의와 낙관주의를 총체적으로 짬뽕시킨 눈물없이는 못보는 신파극 여보 정말 사랑해요 지리산에서 3년 묘향산에서 4년 남산에서 하루 동안 갈고 닦은 전노문협 수도권 창작단 여러분의 공연으로 힘차게 보내드리겠습니다. 징 ….. .나가! 이 인간 쓰레기,쓰레기—— 아니 애처가로 소문난 삼식이가 얼굴에 오선이…

[거리 문선극] “광대가 융성하면 나라가 뒤집힌다” – 민주정부를 갈망하는 분들이여 지금즉시 광대가 되라 (작품1) 제목 : 영삼이의일기 — 밤마다 꿈속에서 악몽을 꾼다. – 영삼이의일기 노래가 불려지고 영삼이 탈이 나와 노래에 맞춰 우스꽝스러운 동작과 춤을 춘다. – 밤마다 꿈속에서 악몽을 꾼다…

한국전 미군 수훈자 명단 2002/12/01 543 KOREAN WAR MEDAL OF HONOR RECIPIENTS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R S T U V W-X Y Z More than 130 American…

번호:65/107 토론자:S0712 수신자:ALL 토론일시:95/05/18 15:50 길이:225줄 삼국유사 제 4 권 의해(義解) 제 5 원광서학(圓光西學) 당 속고승전 제 13권에 실려 있다. 신라 황룡사의 중 원광의 속성은 박씨이다. 본디 변한,진한,마한의 삼한에 살았 는데, 원광은 바로 진한 사람이다. 대대로 해동에 살아 조상의 풍습이…

후백제의 견훤 삼국사기 본전에 이르기를 견훤은 상주 가은현 사람으로, 함통 8년 정해(867) 에 태어났으며 원래 성은 이씨였는데 뒤에 견(甄-질그릇 견)으로 성을 삼았다. 아버 지 아자게는 농사를 지어 생활했었으나, 광계 연간에 사불성-지금의 상주-에 웅거하여 스스로 장군이라 일컬었다. 아들이 넷으로 모두 세상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