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세계관을 주는 학문으로서의 철학사상의 변화 세계에 대한 가장 총체적인 견해를 주는 것은 철학입니다. 모든 철학이 공동으로 해결해야할 주된 문제를 철학의 근본문제라고 합니다. 철학이 근본문제를 가지는 것은 세계의 개별적 측면을 연구하는 개별과학과 달리 전체로서의 세계를 연구하며 단순한 지식이 아니라 전일적인…

(4)철학적 방법론 개별학문의 체계를 올바로 이해하려면 그보다 상위체계에서 일반화된 방법론이 필요합니다. 추석 귀향길이 막힐 때 어느 길로 가야지 가장 빠르고 정확한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은 같은 길 위에 있는 사람의 얘기를 듣는 게 아니라 공중에 뜬 헬기와 그의 연결고리인 방송을…

(5) 자주문예운동에서 철학사상의 문제 우리에겐 어느샌가 모르게 자유주의적 관점이 많은 동의를 얻고 있는 것 같다. 왈러스타인은 ‘자유주의 그후’ 마지막 결론으로 자유주의자가 선택할 방법에 대해 다음과 정리하고 있다. “목표를 정하라 그리고 지금 내가 헤엄쳐 가고 있는 것이 그 목표와 연관되어 있는지…

(6) 자주문예운동에서의 주체 1) 주체의 개념 주체와 객체란 개념은 헤겔로부터 레비나스까지 서양철학의 중심 화두였습니다. 여기서는 주체의 개념과 관계, 방법을 이해하기 위해 ‘인식과 가치’의 문제를 먼저 살펴보고자 합니다. 우리의 모임은 옳아서가 아니라 좋아서 오는 조직입니다. 아마 요즘 대부분의 모임이 그러할 것입니다….

(5) 자주문예운동에서 철학사상의 문제 우리에겐 어느샌가 모르게 자유주의적 관점이 많은 동의를 얻고 있는 것 같다. 왈러스타인은 ‘자유주의 그후’ 마지막 결론으로 자유주의자가 선택할 방법에 대해 다음과 정리하고 있다. “목표를 정하라 그리고 지금 내가 헤엄쳐 가고 있는 것이 그 목표와 연관되어 있는지…

담양의 호남유학주의 사진작가 이시우 들어가는 글 여름 담양가는 길에 고속버스에서 본 나뭇잎과 풀잎들은 마침 북상하는 태풍으로 부산스레 흔들리고 있었다. 옥수수는 비장하게, 풀잎은 장엄하게, 포플라는 아양을 떨듯이, 아카시아는 환호성을 지르듯 나부끼고 있었다. 숲으로 밖에 보이지 않던 나무들은 바람을 맞아 비로소 자기의…

이시우의 지역사상의 뿌리를 찾아서 안동의 향토주의 사진작가 이시우 4월19일 엘리자베스 여왕의 하회마을 방문일정으로 담장 보수에, 마을 청소에 분주한 사람들을 뒤로하고 오는 길에 본 지역신문에는 정동호 안동시장이 안동문화의 세계화를 주장하며 흥분하고 있는 기사가 보였다. 시장과 함께 쾌재를 부를 다른 안동사람들을 생각했다….

대구의 지역패권주의 사진작가 이시우 들어가는 글 대구를 찾아가던 날은 올들어 제일 덥다는 일기예보가 있었던 날이다. 올들어 제일 더운날 한국에서 제일 덥다는 대구를 찾아가며 마음의 각오를 단단히 했지만 외지인을 맞이한 것은 생각했던 만큼의 더위보다는 시원한 바람이었다. 대구는 박정희이후 근대사에서 가장 강력한…

지역사상의 뿌리를 찾아서 예산의 유교주의 사진가. 이시우 [사진1 예산전경] 1. 김대중의 지역정책 김대중의 지역정책은 성공했는가? 김대중에 의한 정권교체의 역사적 의의를 국민회의에서는 수평적 지역등권의 실현이라고 표현했다. 패권적 지역주의를 극복할 토대를 마련한 것이다. 그러나 계속되는 지역정책의 오류는 이 역사적 성과를 원점으로 되돌려…

파주 – 참여를 통한 개혁, 저항을 통한 참여 ——————————————————————————– 삐따기와 꺼꾸리 아직도 재밌게 보는 만화영화 ‘이상한 나라의 폴’ 가운데에 한번은 ‘거꾸로 된 나라’ 얘기가 있었다. 모든게 거꾸로 된 이나라는 걸음도 발로 걸으면 안되고 물구나무서서 손으로 걸어야하고, 놀면 칭찬받고 공부 열심히하면…

양구 – 수단으로서의 평화, 목적으로서의 평화 ——————————————————————————– 관성에 대하여 얼마전 오페라 연출가 문호근 선생님이 제안한 국제 문예박람회를 위한 첫 번째 심포지엄에 갔다. 추진하는 내용이나 사람 모두 비중있는 자리였지만 사람수가 적어도 너무 적어 의외였다. 토론회의 열기도 그다지 높지 못했다. 결국 국제…

연천 – 통일의 이상 ——————————————————————————– 지도책 이야기 답사를 갔다오던 길에 있었던 일이다. 마침 장마가 시작되는 날이라 비가 꽤 왔다. 언제나 답사길이 그렇지만 길을 찾아 헤메는 시간이 반이다. 차를 타고 가던 중에 떨어져 나온 듯한 절벽에서 물이 쏟아져 내려오는 것이다. ‘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