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Z

DMZ

강화양민학살희생자추모제 고유문(09.10.17)

고유문 (*고유란 어떤사유가 생겼을 때 영령에게 그것을 고하는 것으로 09.3월 강화 교동도 양민학살에 대한 진실규명결정이 이루어지고 국방부와 경찰청의 공식사과가 이루어지게 되었음을 알리는 글) 영령들이시여 목매이게 불러도 대답 없는 영령들이시여. 피눈물 뿌리며 몸부림쳐도 끝내 대답 없는 영령들이시여. 얼마나 한이 깊으시면, 얼마나…

크로포트킨2009/10/11

이 원고는 미 발표원고 입니다. 저를 비롯해 여러사람이 공저자인 우사 김규식 통일독립의 길을 가다(통일뉴스출간)에 들어갈 예정이었으나 원고분량을 조절하면서 이 부분은 빼기로 하였습니다. 책은 몇달전에 출간되었습니다. 이 부분도 추가하여 읽으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크로포트킨 이르쿠츠크를 향해가는 동안 우사일행이 경험했던 시베리아 소읍들의…

유라시아체계와 전쟁전후 강화 민간인 희생 사건2008/12/25

유라시아체계와 전쟁전후 강화 민간인 희생 사건 한국전쟁 전후 강화 민간인 희생자 추모조형물 건립을 위한 창작의 관점에 대하여 이시우 오랫동안 나의 뇌리속에서 이 문제를 어떻게 봐야할까를 고민하다가 유경근이란 이름을 발견하게 되었다. 그는 강화민간인 학살의 가해주체로 확인된 강화특공대의 고문이었다. 그러나 그는 또한…

유라시아체계의 발전과정과 통일2008/08/28

유라시아체계의 발전과정과 통일  사진가 이시우 www.siwoo.pe.kr 현재의 비무장지대와 민통선 지역은 공교롭게도 한반도의 허리를 차지하고 있는데 이 지역은 역사상 한반도 역사상 가장 특징적인 사상과 문명이 발생하고 발전한 곳이다. 한탄강의 미륵사상이 그렇고, 임진강의 조선성리학이 그러하며, 한강의 실학과 개화사상, 다소 과장되었지만 강화도의 단군사상이…

오끼나와,제주,이라크 그리고2008/04/15

오끼나와,제주,이라크 그리고 이시우 제주시청 마당에선 젊은사람의 귀엔 한없이 지루하게 들릴 무당의 굿소리가 이어지고 있었다. 바람에 지전이 쓰석쓰석 날리고 혼이 서성이듯 제가 걸린 줄에 매달려 하릴없이 빙빙 돈다. 바람불면 흩어지고 비가 오면 씻겨가니 어디한곳 머물곳이 없다고 혼들은 무당의 입을 빌어 흐느끼고…

오키나와 평화기행문2008/03/17

오키나와 평화기행문 순간 이동하듯 비행기로 여행지에 도착하는 것은 편리한만큼 건조하다. 오키나와 가는 첫 여정이 배안이었다는 것은 고마운 일이었다. 우리는 서로에게 인사를 나눌 수 있었고 서로의 생각을 헤아릴 수 있었다. 무엇을 볼 것인가에 앞서 누구와 볼 것인가를 선택하고 준비할 수 있는…

이정희변호사를 위한 변론2008/03/10

이정희변호사를 위한 변론 사진가 이시우 2007년은 내게 개인사가 사라진 한해였다. 당도하기 힘들 것 같은 긴 터널을 통과하는 동안 내곁엔 이정희변호사님이 계셨다. 완전무죄라는 국가보안법 초유의 판결을 이끌어낸 1등공신으로 이정희 변호사를 꼽는데 나의 아내 김은옥은 이의를 달지 않는다. 이정희변호사님과의 인연을 만들어 주신…

일심회조작사건 논란에 대한 생각2008/02/12

일심회조작사건 논란에 대한 생각 1월21일 임진각에서 이시우 땅을 껴안으며 ‘국가보안법’에 대한 새로운 결을 발견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여의도를 출발한지 긴 시간이 지나서야 임진각에 닿았다. 임진각까지 닿아도 새로운 결이 찾아지지 않으면 다시 고성을 향해가고, 고성에 닿아도 깨달음이 없으면 부산까지 간다는…

강화학파2007/12/22

강화학파 이시우 조선조중기 사상사의 흐름을 세가지로 갈래를 잡으라면 송시열의 노론을 중심으로 굳어진 조선성리학, 정제두의 양명학, 임성주의 녹문학이라 하겠다. 노론의 조선성리학은 애초 이이의 철학이 지향했던 개혁적 성격이 완전히 탈색되고 보수적이고 때론 역사적 반동의 양상으로까지 발전해 갔다. 서양철학의 분류개념으로 본다면 객관관념철학을 대표한다….

병자호란과 선원 김상용의 선택2005/11/24

병자호란과 선원 김상용의 선택 병자호란은 조선조 100여년 간의 역사를 규정한 사건이 된다. 그 중심에 김상용이 있다. 패배할 것이 뻔한 호란을 앞에두고 전혀 다른 정세인식을 한 최명길과 김상용의 선택은 역사의 결정적인 순간에서의 선택의 문제에 대해 전략의 문제에 대해 다시한번 생각케 한다….

대몽항쟁의 유라시아적 성격과 삼별초2005/11/23

대몽항쟁의 유라시아적 성격과 삼별초 이시우 삼별초를 말하기 전에 우리는 대몽항쟁의 유라시아적 성격을 간파할 필요가 있다. 그것은 우리가 이미 승천포 역사순례를 통해 본 바와 같다. 삼별초 항쟁은 지정학적 전략과 항쟁의 주체가 결합될 때 만이 민족의 자존을 지킬 수 있다는 교훈을 얻게…